여행·교육 카드사용액 반토막…고용도 동반 감소

입력 2021-07-22 12:00 수정 2021-07-22 18: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총, ‘개인 신용카드 데이터로 분석한 품목별 소비 현황’ 발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여행, 교육, 숙박ㆍ음식 품목의 개인 신용카드 사용액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사용액이 급감하면서 이들 업종의 고용도 동반 감소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2일 발표한 ‘개인 신용카드 데이터로 분석한 품목별 소비 현황과 시사점’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은 지난해 연간 개인 신용카드 사용액(550조 원)은 2019년(539조 원) 대비 102.1% 수준으로 유사했으나, 올해 3월(49조9000억 원)에는 2019년 3월(44조5000억 원) 대비 112.1% 수준까지 상승했다.

다만, 올해 3월 실제 개인 신용카드사용액은 코로나19가 없었을 경우(과거의 추세대로 신용카드사용액이 늘어난 경우)를 가정한 기대신용카드사용액(52조3000억 원)에 비해선 95.3%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소비품목별 증감 격차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전자상거래와 자동차 품목의 지난해 카드사용액은 2019년 대비 각각 124.5%, 121.0% 수준으로 오히려 크게 증가했고, 올해 3월에도 각각 2019년 동월 대비 148.3%, 120.6% 수준으로 증가했다.

반면에 여행, 교육, 숙박음식 품목의 지난해 카드사용액은 2019년 대비 47.8~85.4% 수준으로 감소했고, 올해 3월에도 2019년 3월 대비 52.5~88.1% 수준으로 코로나19에 따른 충격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신용카드 소비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 숙박ㆍ음식업, 교육서비스업 그리고 예술·스포츠 및 여가 서비스업에서는 고용도 함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해 12월 이후에는 소비가 다시 증가하면서 해당 업종의 고용도 일부 회복된 것으로 분석됐다.

경총 하상우 경제조사본부장은 “2021년 개인 신용카드 전체사용액은 2019년 수준 이상으로 회복하겠지만, 일부 업종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은 불가피할 것”이라며 “특히 품목별 소비증감의 격차가 과거보다 더욱 커질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 팬데믹으로 소비·산업구조의 변화를 동반하는 경우 총소비가 회복되더라도 대면서비스업 관련 소비와 고용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온전히 회복되지 않을 수 있다”라며 “소비 회복이 경기 활성화, 고용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어려운 업종에 대한 지원 정책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부터 즉각 켠다…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싫어하는 이유 [해시태그]
  • 서울대병원 17일·의협 18일 휴진…“돈 밝히는 이기적 집단 치부 말라”
  • 전세사기에 홀로 맞서는 세입자…전세권 등기·청년 셀프 낙찰 '여전'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카리나 시구 확정…롯데 자이언츠 경기도 관람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쾌거에…젠슨 황 세계 10위 부자 ‘눈앞’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706,000
    • -0.24%
    • 이더리움
    • 5,197,000
    • -0.21%
    • 비트코인 캐시
    • 659,000
    • -2.23%
    • 리플
    • 697
    • -0.57%
    • 솔라나
    • 224,000
    • -1.97%
    • 에이다
    • 622
    • +0.16%
    • 이오스
    • 995
    • -1.87%
    • 트론
    • 164
    • +3.14%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550
    • -2.15%
    • 체인링크
    • 22,500
    • -0.92%
    • 샌드박스
    • 586
    • -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