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상 최대 부정선거 될 것” 트럼프 대통령, 또 우편투표 맹공

입력 2020-06-23 10: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2차 세계 대전 때도 아무런 문제 없이 투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오클라호마주 털사의 오클라호마은행센터(BOK)에서 열린 대선 유세장에서 연설하고 있다. 털사/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오클라호마주 털사의 오클라호마은행센터(BOK)에서 열린 대선 유세장에서 연설하고 있다. 털사/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또다시 우편투표에 대한 맹공격을 이어갔다.

2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에서 “우리는 제1·2차 세계 대전 중에도 아무런 문제 없이 투표했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속에서도 우편투표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그들이 우편을 이용해 부정행위를 하기 위해 코로나19를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남북전쟁에서 시작된 부재자 투표는 미국에서 일반적인 투표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코로나19 대유행 속에서 사람이 몰리면 감염 확산의 위험이 있어 많은 주(州)가 투표소를 찾지 않는 부재자 투표에 대한 접근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당파적인 문제로 접근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윗에서 “2020년 부정선거 : 수백만 장의 우편투표 용지가 외국과 다른 이들에 의해 인쇄될 것”이라며 “이것은 우리 시대의 스캔들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어리석음이 끝나지 않는다면 우편투표로 인해 올해가 우리나라 역사상 최대의 부정선거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칠 목적으로 용지를 위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비용 또한 많이 든다고 지적하고 있다. 우편투표 용지를 성공적으로 위조하기 위해서는 주에 있는 부재자 투표 명단이 있어야 하며, 누가 이미 투표했는지도 알아야 한다. 또 투표용지의 크기와 무게, 디자인, 그리고 각 카운티의 봉투를 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선거구 및 유권자 ID번호와 같은 주요 세부 정보도 마찬가지다. 워싱턴D.C.의 싱크탱크인 초당파적 정책센터의 선거 프로젝트 책임자 매튜 웨일은 “봉투에 있는 위조된 서명과 파일에 있는 서명을 일치시켜야 하며, 적절한 소인을 보장하기 위해 지역별로 우편물을 발송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7월부터 햇살론ㆍ사잇돌대출 등 서민금융도 실시간 온라인 상담 된다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604,000
    • -0.06%
    • 이더리움
    • 5,028,000
    • +2.63%
    • 비트코인 캐시
    • 547,500
    • +0.18%
    • 리플
    • 696
    • +1.31%
    • 솔라나
    • 190,900
    • -1.75%
    • 에이다
    • 548
    • +2.24%
    • 이오스
    • 809
    • +4.12%
    • 트론
    • 163
    • +0.62%
    • 스텔라루멘
    • 132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100
    • +2.39%
    • 체인링크
    • 20,380
    • +4.78%
    • 샌드박스
    • 461
    • +5.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