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청노동자 안전보호 불량’ 공공·대형 사업장 354곳 적발

입력 2019-12-01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60개소에 과태료 3억9000만 원 부과

▲고용노동부 (이투데이DB)
▲고용노동부 (이투데이DB)

하청 노동자에 대한 안전 보호 조치를 준수하지 않은 공공·대형 사업장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고용노동부는 사내 하청 노동자가 많은 공공 사업장과 대형 사업장 399개소를 대상으로 지난달 21일부터 11월 8일까지 실시한 '하청 노동자 보호 안전·보건 조치 이행 불시 점검'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이번 점검은 지난해 태안발전소에서 발생한 청년 노동자의 사망사고를 계기로 올해 3월 19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공공기관 작업장 안전 강화 대책’의 후속 조치로 실시한 것이다.

점검 결과 도급 사업에서 원청 주관의 안전보건협의체 미운영, 원·하청 합동 안전 점검 미실시 및 추락 방지 조치 미실시 등 안전․보건 조치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사례가 많이 적발됐다.

고용부는 399개 중 353개소(1484건)에 대해 시정명령을 내렸으며 이중 260개소에 대해서는 과태료 3억9000여만 원을 부과했다.

고소작업대 등 유해·위험 기계·기구를 방호 조치 없이 사용한 12개소에 대해서는 사용중지 등을 명령했다.

박영만 고용부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은 “이번 점검은 위법 사항에 대한 단순 처벌에 그치지 않고 공공기관이나 대형사업장이 도급사업에서 발생하는 유해·위험요인을 자율적으로 모두 개선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이어 "공공기관이나 대형사업장이 모범적으로 하청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기업 문화를 정착시키고, 이러한 문화가 산업현장 전반으로 확산되도록 정기적인 지도·점검을 매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북 북동부 산불 사망자 18명…부상자 19명·실종자 1명
  • 임영웅, 세금 체납으로 51억 펜트하우스 한때 압류…"우편물 확인 못 해"
  • 단독 금융당국 '보험사기 블랙리스트' 검토 [8조 원의 행방上]
  • 12단에서 16단으로…HBM, 얼마나 더 쌓을 수 있을까 [ET의 칩스토리]
  • 이재명 ‘선거법 위반’ 2심 오늘 선고…대선 구도 영향
  • ‘유행 따라 출격, 끝은 상폐?’…운명의 갈림길 선 ETF
  • "싱크홀 전조 현상 있었다…지하철 공사 원인 가능성 70%"
  • 비트코인, 美 소비자신뢰지수 위축에 횡보…솔라나·도지는 일주일새 10%↑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3.26 13:5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937,000
    • +0.99%
    • 이더리움
    • 3,034,000
    • +0.5%
    • 비트코인 캐시
    • 489,100
    • +1.18%
    • 리플
    • 3,615
    • +1.06%
    • 솔라나
    • 210,500
    • +2.63%
    • 에이다
    • 1,104
    • +3.08%
    • 이오스
    • 849
    • +0%
    • 트론
    • 338
    • +1.2%
    • 스텔라루멘
    • 438
    • +3.0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100
    • +1.76%
    • 체인링크
    • 22,900
    • +3.25%
    • 샌드박스
    • 457
    • +3.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