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자가용항공기 상용화에 대비한 새 항공정책 만든다

입력 2019-04-29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3차 항공정책 기본계획(2020~2024년) 연말 발표

▲보잉의 자율비행택시 시제품 PAV가 지난 1월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외곽에서 시험 비행을 하고 있다.(보잉)
▲보잉의 자율비행택시 시제품 PAV가 지난 1월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외곽에서 시험 비행을 하고 있다.(보잉)
유·무인 개인자가용항공기(PAV·Personal Air Vehicle) 등 미래항공교통수단 상용화에 대비한 항공정책이 나온다.

국토교통부는 29일 급변하는 기술과 산업동향 등 항공정책환경 변화에 대응해 향후 5년간 항공정책 비전과 전략 마련을 위한 제3차 항공정책 기본계획(2020~2024년) 수립에 착수했다.

항공정책기본계획은 항공사업법에 따라 항공정책·안전·공항개발 등 항공분야 최상위 계획으로 5년마다 수립한다.

제2차 항공정책기본계획 수립 이후 항공시장 성장 및 업계구조 변화, 4차 산업혁명 대두, 드론산업 부상 등 항공정책 환경은 그 어떤 분야보다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국토부는 기술간‧교통수단간 융복합화, 안전‧보안에 대한 위협의 다양화 등 항공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최신 흐름을 감안해 각 분야간 칸막이 없는 유기적 연계체계 속에서 과제를 발굴하고 대응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기본계획 수립 전담조직(TF)을 구성했다.

TF는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을 단장으로 항공정책실 전 부서와 연구기관, 공항공사‧항공사, 민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다.

TF는 지난 22일에 연구용역 및 TF 착수회의를 열었다. 앞서 한국교통연구원에 제3차 항공정책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2018년 4~12월)을 발주한 바 있다.

착수회의에서는 지속가능한 항공산업 성장을 위해서는 향후 글로벌 항공시장 전망, 관광행태에 따른 항공수요 변화 등을 토대로 국제선 네트워크 확대 및 공항개발 방향정립 등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공감했다.

이를 통해 PAV 등 미래항공교통수단 상용화에 대비해 관제 등 항공교통관리체계 구축, 빅데이터를 활용한 안전관리 본격화, 항공사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등 기본계획에 반영돼야 할 다양한 아이템들이 제시됐다.

국토부는 5월부터 학계‧업계‧지자체 등 분야별로 간담회를 이어서 개최해 새로운 과제 발굴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또 국민참여단을 구성해 핵심이슈에 대해서는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통해 정책우선 순위를 선정하는 등 국민들이 항공정책에 바라는 방향을 담아 기본계획의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권용복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다음 5년을 위한 항공정책 기본계획에서는 급변하는 기술과 산업동향을 반영한 비전 제시와 함께 항공산업-안전-공항개발 방향이 유기적 연계속에 짜임새 있게 디자인돼 지속가능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견인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제3차 항공정책기본계획은 국토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기획재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방부 등 6개 부처 차관, 민간위원 13명으로 구성된 항공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12월 최종안이 확정 고시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61,000
    • +1.84%
    • 이더리움
    • 5,245,000
    • +0.63%
    • 비트코인 캐시
    • 651,000
    • +0.7%
    • 리플
    • 728
    • -0.55%
    • 솔라나
    • 234,300
    • +0.13%
    • 에이다
    • 626
    • -0.95%
    • 이오스
    • 1,129
    • +1.16%
    • 트론
    • 156
    • +0.65%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000
    • +1.16%
    • 체인링크
    • 25,410
    • -2.83%
    • 샌드박스
    • 614
    • -1.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