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 무역전쟁 서막 열려…트럼프 “예정대로 6일 대중 관세 발동”

입력 2018-07-06 08: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40억 달러어치 제품에 25% 관세 부과·2주 이내 160억 달러어치 추가 발동…중국도 같은 규모 보복관세로 맞받아칠 예정

▲미국의 주요 대중 무역적자 품목. 기준 지난해. 단위 10억 달러. 앞에서부터 전자·기계류·가구·장난감과 스포츠 장비·의류·신발. 출처 블룸버그
▲미국의 주요 대중 무역적자 품목. 기준 지난해. 단위 10억 달러. 앞에서부터 전자·기계류·가구·장난감과 스포츠 장비·의류·신발. 출처 블룸버그
주요 2개국(G2)인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서막이 열렸다.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예정대로 500억 달러(약 56조 원) 규모의 대중국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다.

미국 정부는 동부 시간으로 6일 자정 0시 1분(한국시간 오후 1시 1분)을 기해 중국의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제재 관세를 부과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몬테나주 그레이트폴스에서 연설하기 위해 이동하는 전용기 ‘에어포스 원’에서 기자들에게 “먼저 340억 달러 규모 관세를 부과하고 나머지 160억 달러에 대해서는 2주 이내에 관세를 발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자동차와 반도체, 의료기기와 산업기계 등 818개 품목을 대상으로 관세를 부과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하이테크 산업 육성책인 ‘중국제조 2025’의 중점 투자 분야를 중심으로 품목을 선택했다. 휴대폰이나 PC, TV, 의류 등 중국에 크게 의존하는 소비재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됐다.

미국에 선제공격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던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선언으로 사실상 관세가 확정됨에 따라 보복관세를 발표할 전망이다. 중국은 미국에 대해 같은 규모의 관세로 맞받아치겠다고 강조해왔다. 중국은 대두와 쇠고기, 자동차 등 545개 품목, 총 340억 달러의 관세를 부과한다.

트럼프 정부가 중국을 직접적으로 겨냥해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중국이 미국의 지식재산권을 훔치고 무역수지 적자를 불공평하게 부추기고 있다”고 비난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가 전 세계 기업과 소비자에게 직접 비용을 부과하는 가장 위험한 경제적 도박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버락 오바마 전 행정부 시절 미국무역대표부(USTR) 부대표를 역임한 로버트 홀리먼은 “일단 관세가 발효하며 충돌이 현실화하는 것”이라며 “우리가 출구를 찾지 못하면 눈덩이가 언덕을 내려가는 것처럼 가속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7월부터 햇살론ㆍ사잇돌대출 등 서민금융도 실시간 온라인 상담 된다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561,000
    • -0.23%
    • 이더리움
    • 5,024,000
    • +2.34%
    • 비트코인 캐시
    • 546,500
    • -0.09%
    • 리플
    • 695
    • +1.02%
    • 솔라나
    • 190,400
    • -1.86%
    • 에이다
    • 546
    • +1.87%
    • 이오스
    • 809
    • +4.39%
    • 트론
    • 164
    • +1.23%
    • 스텔라루멘
    • 132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100
    • +2.39%
    • 체인링크
    • 20,380
    • +4.89%
    • 샌드박스
    • 459
    • +5.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