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1인당 월 소비액 143만원… 서초·강남·용산 씀씀이 최고

입력 2018-07-05 10: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한銀, 서울 생활금융지도 소비편

지난해 서울시민 가운데 서초·강남·용산구민이 가장 많은 소비를 한 것으로 조사됐다.이 기간 서울시민 한 달 소비 수준은 143만 원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소비 규모도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 빅데이터센터는 금융 거래 데이터를 분석해 서울 시민 소비 수준과 방식 등을 알려주는 ‘서울시 생활금융지도-소비편’을 공개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서울시 생활금융지도는 지난해 기준 서울시 개인 고객 131만 명 정보를 분석했다. 고정성 소비(공과금·통신비 등)와 변동성 소비(현금·카드 등)를 모두 한 고객이 대상이다. 우선 거주지별로 소비 현황을 분석했다. 동네별 소비 수준, 소비 성장률 등을 비교할 수 있다. 분석 결과를 보면 지난해 서울 시민의 한 달 소비 수준은 143만 원으로, 평균 대비 편차는 2.67배다. 소비 수준이 가장 높은 지역구는 서초·강남·용산구 등 3곳이다. 20대는 월 89만 원 상당을 쓰며, 30대 때 가장 큰 폭(87%p)으로 소비 수준이 오른다. 40대 때 가장 많은 돈을 쓰며, 60대 이후에는 소비를 점차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현금, 신용카드 등 소비 수단과 체크카드 이용 고객의 소비 내용도 확인할 수 있다. 조사 결과 연령대가 높을수록 현금을 많이 썼다. 신용카드 사용의 경우 20대부터 40대까지 증가하다가 50대부터 줄어든다. 또 급여소득자 소비를 분석해 직장 위치별 소비 수준과 연령별 소비패턴, 소득과 소비 관계를 볼 수 있다. 직장이 중구·종로·강서구에 있는 사람이 소비 수준이 가장 높았고, 은평·동작·용산구의 경우 연평균 성장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은 ‘Recipe(Regional C.A.S.H):지도를 통해 보는 개인 금융생활’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 ‘C.A.S.H.’는 △Customer(고객) △Asset(자산) △Store(채널) △History of money(자금흐름)을 의미한다. 지역 소득 트렌드를 분석해 영업과 정책 수립 과정에 활용한다. 앞서 4월 서울 시민 소득 수준과 편차를 분석한 ‘소득편’을 내놓았다. 이르면 이달 ‘저축편’을 발간한 뒤, 다음 달 중 자료를 모아 최종 보고서를 공개한다.

김철기 신한은행 빅데이터센터 본부장은 “빅데이터는 산재해 있는 방대한 금융 데이터 분석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는 ‘따뜻한 디지털 금융’”이라며 “관련 정책 수립에 중요한 인사이트(insight)를 제공해 고객과 사회 전체를 이롭게 하는 상생의 선순환 고리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095,000
    • +1.7%
    • 이더리움
    • 5,244,000
    • +0.5%
    • 비트코인 캐시
    • 650,500
    • +0.31%
    • 리플
    • 726
    • -1.22%
    • 솔라나
    • 233,900
    • +0.13%
    • 에이다
    • 624
    • -1.42%
    • 이오스
    • 1,124
    • -0.09%
    • 트론
    • 156
    • +0%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850
    • +0.75%
    • 체인링크
    • 25,330
    • -3.8%
    • 샌드박스
    • 611
    • -2.0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