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두산중공업, 1000억 규모 공모 회사채 발행 추진

입력 2017-07-05 14: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두산중공업(A-)이 올해 첫 공모 회사채 발행을 추진한다.

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두산중공업은 오는 19일 2년 만기 1000억 원 규모 공모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한 수요예측은 11일 진행될 예정이다.

올해 신주인수권부사채(BW) 5000억 원, 사모 회사채 1700억 원 등 6700억 원 규모 자금을 조달한 두산중공업은 공모채로 추가 자금 확보에 나선다. 두산중공업의 공모채 발행은 지난 2012년 이후 5년여 만이다.

이번에 조달된 자금은 이달 만기가 돌아오는 1000억 원 규모 사모사채 상환에 쓰일 전망이다. 다만 이번 공모채 발행을 통해 조달 금리를 낮출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당시 조달금리는 3.90%로 최근 회사채 투자심리가 A등급까지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두산중공업은 높은 부채비율, 계열사 지원 가능성 등으로 인해 ‘부정적’ 등급전망을 달고 있어서다.

올해 1분기 기준 두산중공업의 부채비율은 283.66%, 순차입금 규모는 8조6368억 원에 달한다. 더불어 ㈜두산과 함께 그룹 실적을 책임지고 있는 두산중공업은 여건이 열악한 두산건설, 두산인프라코어 등에 대한 지원 가능성으로 재무부담이 증가할 위험이 있는 상태다.

또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두산중공업은 2012년 신규수주가 5조5000억 원에서 2015년 8조5000억 원으로 증가해 매출회복이 기대됐으나 지난해 조정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8% 감소한 6조 원에 그쳤다. 매출 감소로 인한 고정비 부담, 구조조정 비용, 추가 원가 반영 등으로 조정연결기준 영업이익도 2000억 원대에 머물렀다.

최근 두산그룹 지주사 ㈜두산이 1200억 원 규모 회사채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에서 쓴 맛을 본 점도 부담이 될 전망이다. ㈜두산은 지난달 15일 2년 만기 공모회사채 발행을 위해 개별민평보다 50bp 높은 금리로 수요예측을 진행했지만 480억 원을 모집하는데 그쳤다. 한화(A), 대림코퍼레이션(A), 한국콜마(A) 등이 4배 이상 유효수요를 확보한 것과 다른 모습이다. 두산중공업과 마찬가지로 계열사에 대한 지원 부담 등이 투자심리를 위축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중국이 중국했다" 손흥민·이강인 향한 좁은 속내…합성사진 논란
  • "올여름 폭염·폭우 지속될 것…미리 대비해야"
  • 지하철서 잠든 이준석 사진 확산…출퇴근 목격담도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뇌전증 전문 교수들, 집단휴진 불참…“환자 위기 빠트리는 행동 삼가야”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11:0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61,000
    • -1.2%
    • 이더리움
    • 4,937,000
    • -0.62%
    • 비트코인 캐시
    • 614,000
    • -3.23%
    • 리플
    • 677
    • -1.31%
    • 솔라나
    • 209,600
    • -2.28%
    • 에이다
    • 599
    • -1.96%
    • 이오스
    • 958
    • -2.24%
    • 트론
    • 166
    • +1.22%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950
    • -2.24%
    • 체인링크
    • 21,630
    • -2.35%
    • 샌드박스
    • 560
    • -1.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