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거센 반발에 증시도 수출도 ‘사드 영향권’

입력 2016-07-11 10: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무역보복 가능성 수출기업 근심…화장품·카지노·여행주 등 급락

고고도미사일방어(사드) 체계의 한반도 배치 결정에 중국이 거세게 반발하면서 국내 증시는 물론 산업계가 패닉에 빠졌다.

11일 거래소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사드의 배치 결정 이후 주식 시장은 급락했고, 산업계는 가뜩이나 글로벌 경기가 어려운데 중국 정부의 규제 강화 등 무역 보복으로 수출 전선에 악영향이 있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중국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는 한국에 대한 무역 보복과 사드 배치를 추진한 정치인에 대한 입국 금지 등의 반격조치를 당국에 주문하기도 했다. 앞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8일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 결정과 관련해 “우리는 한국 친구들이 사드 배치가 진정으로 한반도의 안전, 평화안정 실현, 핵 문제 해결에 유리하고 도움이 되는가를 냉정하게 생각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중국의 강경 대응에 국내 주식시장은 즉각 반응했고 중국 소비 관련주가 직격탄을 맞았다. 사드 배치 결정 첫날인 8일 방위산업 관련주의 시총이 500억 원가량 증가했음에도 유커 대상 매출이나 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화장품과 카지노, 여행 등 중국 소비주가 급락해 3조2000억 원가량의 시가총액이 증발했다.

특히 화장품 업체의 타격이 컸다. 아모레퍼시픽의 시총은 25조 원대에서 24조 원대로 1조1399억 원 줄었고, LG생활건강, 아모레G, 한국콜마 등도 시총 감소가 컸다. 또 카지노 업체인 GKL과 여행사인 하나투어의 시총도 크게 줄었다.

여기에 중국계 자금 유출도 우려되고 있다. 올해 들어 중국은 국내 원화 상장채권을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로 올라섰다. 중국계 자금이 이탈하면 채권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국내 산업계는 브렉시트에 연이은 악재에 속을 태우고 있다. 혹여 지난 2000년의 ‘마늘 파동’이 재현되지는 않을까 긴장하는 것. 당시 중국 정부는 한국이 중국산 마늘에 물리는 관세를 10배가량 올리자 일주일 뒤 한국산 휴대전화와 폴리에틸렌의 수입을 전면 중단했다.

재계는 최근 중국 정부로부터 인증 대상에서 제외된 전기차 배터리업계나 대중 수출 비중이 큰 IT업계와 자동차, 유통·관광업계, 면세점업계 등의 타격을 우려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내부통제 태풍]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날씨] '낮 최고 35도' 서울 찜통더위 이어져…제주는 시간당 30㎜ 장대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10:1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861,000
    • -0.21%
    • 이더리움
    • 5,020,000
    • +1.01%
    • 비트코인 캐시
    • 554,000
    • -0.36%
    • 리플
    • 698
    • +0%
    • 솔라나
    • 190,400
    • -2.86%
    • 에이다
    • 544
    • -0.18%
    • 이오스
    • 807
    • +1.77%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2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650
    • +1.38%
    • 체인링크
    • 20,220
    • +1.56%
    • 샌드박스
    • 461
    • +2.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