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미국 대선] 공화당 아이오와 코커스서 트럼프 꺾은 크루즈 “풀뿌리 보수주의의 승리”

입력 2016-02-02 14: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이 1일(현지시간) 아이오와주 코커스 개표 결과를 접한 후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이 1일(현지시간) 아이오와주 코커스 개표 결과를 접한 후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1일(현지시간) 미국 대선의 ‘풍향계’로 통하는 아이오와주 코커스(당원대회)에서 도널드 트럼프를 꺾고 지지율 1위를 기록한 테드 크루즈(텍사스) 상원의원이 자신의 승리를 “풀뿌리 보수주의의 승리”라고 자평했다.

이날 크루즈 의원은 아이오와 코커스 개표가 99% 진행돼 사실상 결과가 확정된 뒤 행한 연설에서 자신의 승리가 “풀뿌리 지지자들의 승리고, 아이오와 주와 전국에 용기있는 보수주의자들의 승리”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오늘의 결과는 주요 미디어나 워싱턴 기득권 세력, 로비단체가 대선 후보를 선택하지는 못한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27.7% 득표율을 확보해 24.3% 확보한 트럼프를 따돌리며 지지율 1위를 기록했다. 3위에는 마르코 루비오(23%)가 이름을 올렸다.

크루즈의 코커스 승리소식에 유력 경쟁상대였던 트럼프와 루비오 후보도 재빠르게 결과를 인정했다. 이날 코커스에서 2위를 기록한 부동산 재벌 트럼프 후보는 지지자들에 “명예롭게 생각한다”면서 “나는 정말로 아이오와 사람들을 사랑한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지난 6월 처음 선거운동을 시작할 때 많은 사람이 내게 아이오와 코커스에서 10위 안에도 들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며 “(이날 결과가) 믿을 수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루비오 후보는 “반드시 대통령 후보가 돼서 통합된 보수주의 운동을 이끌겠다”고 다짐했다. 루비오는 당초 트럼프와 신경외과 전문의 벤 카슨 등 ‘아웃사이더 돌풍’이 누그러지면 크루즈와 정면 대결을 펼칠 인물로 거론됐던 인물이다.

한편, 민주당 아이오와 코커스는 초접전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오후 11시 33분 현재 개표 96%가 진행된 가운데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49.9% 득표율을 기록해 버니 샌더스(버몬트) 상원의원(49.6%)을 간발의 차로 앞서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7월부터 햇살론ㆍ사잇돌대출 등 서민금융도 실시간 온라인 상담 된다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472,000
    • +0.07%
    • 이더리움
    • 5,019,000
    • +2.95%
    • 비트코인 캐시
    • 543,500
    • +0%
    • 리플
    • 697
    • +1.46%
    • 솔라나
    • 190,000
    • -1.55%
    • 에이다
    • 544
    • +1.87%
    • 이오스
    • 805
    • +4.27%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2
    • +3.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100
    • +2.9%
    • 체인링크
    • 20,300
    • +4.91%
    • 샌드박스
    • 458
    • +5.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