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대 기업, 매출 급감 속 이익 폭증…‘허리띠 졸라매기’효과

입력 2015-11-17 16: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 1~3분기 매출 0.6%↓ 영업익 18.6%↑ 순이익 27.4%↑

국내 500대 기업의 올 1~3분기 매출은 0.6% 감소한 반면 영업이익은 20%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 현대차 등 30대 그룹 역시 매출은 7.1% 쪼그라들었지만 영업이익은 5.4%, 당기순이익은 25.3%나 불어났다. 대내외 경제 여건이 악화되자 각 기업들이 고강도 구조조정과 판관비 절감등 ‘허리띠 졸라매기’ 경영의 효과로 풀이된다.

17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매출액 기준 국내 500대 기업 중 이달 16일 현재 3분기 실적을 공시한 331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3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1514조5905억 원으로 작년(1523조4955억 원) 대비 0.6% 감소한 반면 영업이익은 78조9609억 원에서 93조6350억 원으로 18.6%나 급증했다. 매출이 8조9050억 원 감소하는 동안 영업이익은 이 보다 많은 14조6741억 원이나 불어난 셈이다. 당기순이익 역시 60조4410억 원에서 77조282억 원으로 27.4%나 증가했다. 금액으로는 16조5872억 원 급증했다.

매출 감소는 석유화학, 에너지, 공기업, 상사, 조선ㆍ기계ㆍ설비, 철강, 통신, 지주 등 7개 업종에서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이들 업종에서만 83조2363억 원이 날아갔다. 이 중 규모가 가장 큰 석유화학은 1~3분기 매출이 164조4565억 원으로 1년 전에 비해 22.5%(47조6325억 원) 급감했다. 에너지도 23조573억 원으로 24.8%(7조5864억 원)나 줄었다.

이어 공기업(73조3151억 원. 9.2%), 상사(46조4700억 원, 7.9%), 조선ㆍ기계ㆍ설비(99조1860억 원, 7.8%), 철강(79조1796억 원, 7.4%), 통신(37조138억 원, 4.8%), 지주(4조2473억 원, 1.2%) 순으로 감소율이 컸다.

하지만 매출이 감소한 업종 중에서도 5개 업종은 영업이익을 비교적 큰 폭으로 늘렸다. 석유화학은 1~3분기 영업이익이 11조711억 원으로 212.5%나 폭증, 전체 업종 중에서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통신도 104.4%나 급증했고, 공기업 57.8%, 지주 16.4%, 철강 2.2% 순이었다.

또 증권(120.4%) 운송(54.4%) 서비스(39.2%), 제약(24.7%), 식음료(22.8%) 등도 증가율이 높았다. 이어 삼성전자를 필두로 한 IT전기전자(13.9%), 생활용품(12.8%)어 보험(7.0%), 건설ㆍ건자재(5.3%) 순이었다.

하지만 조선, 기계, 설비와 상사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둘 다 곤두박질쳤다. 특히 조선ㆍ기계ㆍ설비는 영업적자가 3조9746억 원에서 7조9479억 원으로 배 가까이 확대됐다. 현대중공업의 적자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규모 부실이 드러난 대우조선해양의 영향이 컸다. 상사의 영업이익도 11.7% 감소했다.

매출 감소에도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양상은 30대 그룹도 다르지 않았다. 30대 그룹 1141개 계열사 중 16일까지 3분기 실적을 공시한 257개사의 1~3분기 매출은 916조6160억 원에서 851조5319억 원으로 무려 7.1%(65조840억 원) 감소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42조2439억 원에서 44조5408억 원으로 5.4%(2조2970억 원), 당기순이익은 34조5667억 원에서 43조3169억 원으로 25.3%(8조7750억 원)나 급증했다.

매출이 감소한 곳은 30대 그룹 중 20곳에 달했다. S-OIL 매출이 13조9430억 원으로 37.4%나 급감했고, 대우조선해양(7조9996억 원)도 27.4%나 줄었다.

LS(9조4763억 원)와 GS(35조6525억 원)가 각각 21.8%, 20% 급감했고, SK(93조2377억 원) 16.3%, 포스코(42조3633억 원) 14.2%, 금호아시아나(9조8974억 원) 10.8%, 동국제강(4조957억 원) 10.6%, 삼성(195조1251억 원) 10.5%, 두산(9조7807억 원) 10.0% 등도 두 자릿수 이상 비율로 매출이 줄었다.

또 KT(14조3521억 원,-9.2%), 현대중공업(37조2920억 원, -7.0%), 동부(14조5677억 원, -6.8%), 대림(9조3692억 원, -6.5%), LG(78조6235억 원, -3.0%), 한진(15조9255억 원, -2.8%), 영풍(4조7692억 원, -2.6%), CJ(11조3423억 원, -1.6%), 효성(6조9101억 원, -0.4%), OCI(3조2993억 원, -0.1%) 등 주요 그룹들의 매출이 지난해보다 떨어졌다.

30대 그룹 중 영업이익이 늘어난 곳은 14곳이었다. 5곳은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GS는 영업이익이 1조7075억 원으로 218.7%나 급증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효성(3758억 원, 146.8%), 한진(6845억 원, 144.7%), 한화(1조4068억 원, 124.8%), 대림(4508억 원, 63.6%), 동부(6094억 원, 32.1%)), 롯데(2조7252억 원, 32.1%), 영풍(5136억 원, 28.3%), SK(8조80억 원, 18.6%), CJ(8022억 원, 17.6%), LG(3조7435억 원, 15.6%), 현대차(9조1512억 원, 15.1%), 미래에셋(2508억 원, 8.4%), 포스코(2조4400억 원, 2.3%) 등도 모두 이익 규모를 늘렸다. 특히 KT, S-OIL, OCI, 동국제강, 현대는 흑자로 전환했다.

반면 두산 등 8개 그룹의 영업이익이 감소했고, 2개 그룹은 적자를 기록했다. 두산은 3264억 원으로 50.8%나 급감, 감소폭이 가장 컸다. 이어 금호아시아나(2344억 원, -41.4%), 삼성(12조9908억 원, -21.9%), 대우건설(2772억 원, -13.4%), LS(3211억 원, -9.2%), 현대백화점(3751억 원, -6.9%), KCC(1895억 원, -2.0%), 신세계(7011억 원, -0.5%) 순이었다. 대우조선해양은 4조6691억 원의 영업적자로 전환했다. 현대중공업은 영업적자가 1조1337억 원으로 축소됐으나 적자가 이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469,000
    • +1.07%
    • 이더리움
    • 5,326,000
    • +1.01%
    • 비트코인 캐시
    • 684,000
    • +3.64%
    • 리플
    • 727
    • +0%
    • 솔라나
    • 239,900
    • +1.7%
    • 에이다
    • 638
    • -0.31%
    • 이오스
    • 1,116
    • -0.36%
    • 트론
    • 158
    • -0.63%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450
    • +1.73%
    • 체인링크
    • 24,500
    • +0%
    • 샌드박스
    • 651
    • +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