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텃밭 광주 포함 4.29재보선 4곳 ‘전패’ 위기

입력 2015-04-03 08:59 수정 2015-04-03 10: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비노·동교동계 지원도 소극적… 문재인, 정치력 시험대 올라

새정치민주연합이 4.29재·보궐선거 전패 위기에 놓였다. 총 4곳에서 치러지는 국회의원 선거 지역 가운데 여론조사 결과는 물론 자체 판세 분석에서도 선두를 달리는 곳은 단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장 큰 원인은 야권 후보의 분열이다. 새정치연합을 탈당한 뒤 국민모임을 주도하고 있는 정동영 전 의원이 서울 관악을에 출마했고, 역시 새정치연합을 나간 천정배 전 의원은 광주 서구을에 무소속으로 나섰다. 둘 모두 노무현 정부에서 각각 통일부 장관과 법무부 장관을 지낸 노련한 정치인으로,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지지세를 넓혀가고 있다.

정동영 후보는 서울 관악을에서 새정치연합 정태호 후보의 표를 잠식 중이다. 당장은 ‘어부지리’격으로 새누리당 오신환 후보가 독주하는 모양새다.

광주 서구을에선 천정배 후보가 모든 여론조사에서 새정치연합 조영택 후보를 따돌리고 1위를 지키고 있다.

인천 서구·강화을은 새누리당의 전통 지지층이 많은 곳이어서 애초 기대가 크지 않았다.

가뜩이나 어려운 경기 성남 중원에선 해산된 통합진보당 출신인 김미희 전 의원이 야권 표를 갉고 있다는 평가다.

이런 상황에서 문재인 대표와 각을 세우고 있는 비노계와 동교동계 인사 대부분이 지원 사격에 소극적이어서 선거를 더욱 어렵게 한다.

문 대표가 재보선 지원 요청을 위해 지난 2일 마련한 ‘원탁회의’에 김한길·박지원 의원은 참석하지 않았다. 김 의원은 몸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박 의원은 강의 일정 때문에 불참했다고 밝혔지만 당내 계파 구도와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김대중 전 대통령 직계인 동교동계에서도 대다수가 “문재인 대표를 돕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문 대표 측 관계자는 “선거에서 지면 문 대표가 대권주자로서 일부 타격을 입을 수 있고, 그것을 바라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면서 “그러나 선거 패배는 문 대표 개인뿐 아니라 야권의 존립 위기를 부를 수도 있다. 그러면 정권 교체는 물 건너 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리더 ‘정용진’의 신세계, 어떻게 바뀌었나 [정용진號 출범 100일]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美 출장 성과에 “열심히 해야죠”
  • 18일 동네병원도, 대학병원도 '셧다운'?…집단 휴진에 환자들 가슴만 멍든다 [이슈크래커]
  • 15만 원 저축하면 30만 원을 돌려준다고?…‘희망두배청년통장’ [십분청년백서]
  • SM, '매출 10% 못 주겠다'는 첸백시에 계약 이행 소송…"법과 원칙대로"
  • 주식 공매도, ’전산시스템’ 구축 후 내년 3월 31일 재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446,000
    • -0.12%
    • 이더리움
    • 4,924,000
    • -1.34%
    • 비트코인 캐시
    • 625,500
    • -0.48%
    • 리플
    • 682
    • +0.44%
    • 솔라나
    • 210,400
    • -1.87%
    • 에이다
    • 605
    • +0.83%
    • 이오스
    • 966
    • -1.02%
    • 트론
    • 163
    • -1.21%
    • 스텔라루멘
    • 13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73,000
    • +0.97%
    • 체인링크
    • 21,560
    • +0.42%
    • 샌드박스
    • 561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