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에세이] '효자동 이발사'는 세월을 깎는다

입력 2014-12-12 16: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시간이 멈춘 곳, 춘천 효자동 '성일이용원'

▲이발가구와 소품, 인테리어가 1970년대로 시간을 되돌린 듯한 강원도 춘천 효자동 성일이용원의 '효자동 이발사' 지면상씨가 손님을 면도하고 있다. (사진=최유진 기자 )

‘1964년∼그해 봄’.

아리송한 문구가 쓰인 문을 열고 들어선다.

낡은 이발용 의자와 연탄난로, 어릴 적 대중목욕탕에서 보았던 모양의 타일이 붙은 세면대, 배불뚝이 브라운관 TV,

고풍스러운 나무 소재의 등받이 소파, ‘쾌남~’을 외치던 광고의 화장품 회사의 로고가 새겨진 습도계….

(사진= 최유진 기자)

머릿속 시간이 1990년대, 80년대, 70년대를 거쳐 하염없이 거꾸로 흘러간다.

이내 시선이 꽂힌 곳에는 1977년 재교부된 빛바랜 이용사 면허증과 허름한 약장 한 구석을 차지하고 있는 바리캉,

사인펜으로 직접 쓴 이용요금표가 자리하고 있다.

순간 2014년 겨울 문턱에서의 현실을 잊었다.

(사진= 최유진 기자 )
(사진= 최유진 기자)

‘효자동 이발사’.

강원도 춘천시 효자동 662-19번지 성일이용원의 주인장 지면상(65)씨의 50년 이야기가 내려앉은 공간의 모습이다.

1964년 봄 이씨는 초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이발소 견습생 생활을 시작했다.

이발료가 80원이던 시절 하루 일당 200원을 받으며 그렇게 시작한 일이 지금까지 이어졌다.

당시 이발소는 보통 이발사 2~3명에 아가씨 면도사 3~4명을 직원으로 두고 있었다.

좋은 시절의 이야기다.

이제는 하루에 손님 10명을 받기도 힘들다.

(사진= 최유진 기자 )
(사진= 최유진 기자)

영화 ‘효자동 이발사’에서는 대통령이 사는 동네의 이발사를 통해 우리나라 근현대사를 이야기했다.

주인공이 운영하는 이발소의 간판이 ‘孝子리발관’에서 ‘효자이발관’로 바뀌는 동안 수많은 사건들은 역사를 만들어냈다.

(사진= 최유진 기자)

춘천의 효자동 이발사의 공간도 마치 영화처럼 근대사를 오롯이 품고 있다.

20년 단골손님이 의자에 앉았다.

가위가 닿는 곳마다 백발이 떨어진다.

이발사의 날렵한 가위질이 펼쳐지는 손엔 연륜만큼 주름이 가득하다.

(사진= 최유진 기자)

초겨울 냉기가 문틈을 비집고 들어온다.

이용원 연탄난로 위 주전자 물이 끓는다.

아련한 추억들이 수증기를 타고 새록새록 피어오른다.

(사진= 최유진 기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고물가 시대, 싸게 생필품 구매하려면…유통기한 임박몰 이용해볼까 [경제한줌]
  • CDMO·시밀러 분리 선언한 삼성바이오, ‘글로벌 톱 바이오’ 승부수
  • 미국, 워싱턴D.C.서 총격 사건으로 이스라엘 대사관 직원 2명 사망
  • 선거 벽보 훼손하면 진짜 감옥 가나요? [해시태그]
  • 물벼락 맞을 준비 됐나요?…흠뻑쇼ㆍ워터밤이 세운 '여름 공식' [엔터로그]
  • "보라매공원 상전벽해"⋯역대 최대 규모 '서울국제정원박람회' 개막 [종합]
  • SKT 유심 교체 300만 명 돌파…"유심 배달 서비스 검토"
  • [르포] “삼성·LG가 왜 노트북을 만들어요?”…‘PC의 성지’ 대만 전자상가 가보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4,876,000
    • +3.39%
    • 이더리움
    • 3,684,000
    • +5.92%
    • 비트코인 캐시
    • 608,000
    • +8.96%
    • 리플
    • 3,372
    • +1.93%
    • 솔라나
    • 248,600
    • +5.47%
    • 에이다
    • 1,117
    • +5.98%
    • 이오스
    • 1,060
    • +3.11%
    • 트론
    • 384
    • +2.95%
    • 스텔라루멘
    • 421
    • +4.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550
    • +8.34%
    • 체인링크
    • 23,300
    • +5.57%
    • 샌드박스
    • 465
    • +6.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