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서 진화하는 핀테크…골드만삭스, 주식거래 가상통화 ‘세틀코인’ 특허

입력 2015-12-10 08: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월가에 핀테크 바람이 거세지고 있다. 골드만삭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등 월가에서 내로라하는 은행들이 IT 기술로 인한 업계 지각 변동에 대비해 선두자리를 유지하고자 핀테크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중 가장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는 은행은 골드만삭스다. 일단 투자 규모부터 남다르다. 월가 경쟁은행인 BOA가 올해 총 매출의 4%에 해당하는 30억 달러(약 3조5400억원)를, JP모건체이스는 매출의 3%인 30억 달러를 핀테크에 투자한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골드만삭스는 매출의 7~9%를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액으로는 27억~32억 달러 수준으로 타 은행과 비슷하지만, 매출 기준으로 본다면 타 은행의 2~3배에 달하는 비중이다.

마티 차베즈 골드만삭스 최고정보책임자(CIO)에 따르면 현재 회사 기술사업부 소속 엔지니어는 9000명에 달한다. 각 사업부에 파견된 IT 전문가를 포함하면 1만1000명에 달한다. 이는 은행 전체 11개 사업부 중 가장 큰 규모다. 골드만삭스의 총 직원 수는 3만7000명 정도다.

투자와 인력을 바탕으로 가시적인 성과도 이뤄냈다. 현재 골드만삭스가 보유하고 있는 금융시장구조 관련 특허는 90개에 달한다. 반면 모건스탠리가 보유한 특허 수는 절반도 안된다. 최근 골드만삭스는 ‘세틀코인(SETLcoin)’이란 이름의 가상 통화 시스템을 개발해 지난 3일 이 시스템에 대한 특허 신청서를 당국에 제출했다. 증권거래에 쓰이는 ‘비트코인’을 개발한 것과 마찬가지다. 골드만삭스의 세틀코인은 실시간으로 주식, 채권 등에 대한 거래가 가능하고, 거래 내역 역시 블록체인과 같은 분산된 네트워크 원장(ledger)에 바로 기록돼 이력을 쉽게 확인해 볼 수 있어 위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 은행 측 설명이다.

지금도 주식이나 채권 등을 거래하기 위한 전자결제플랫폼은 있다. 하지만, 현재 시스템은 모든 결제 과정이 마무리되기까지 수일 이상이 소요되고, 시스템 상에서 거래 시 문제가 발생할 리스크도 크다고 FT는 설명했다. 그러나 세틀코인으로 실시간 거래를 하게 되면 거래의 편의성은 물론 비용 절감까지 노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에릭 워서스트롬 구겐하임증권 애널리스트는“기술적 혁신은 시장 구조와 비용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스승의 날 인사말 고민? 2025 스승의 날 문구 총정리
  • ‘김동선 주도’ 한화호텔, 매출 2조 아워홈 인수 완료…“식음•푸드테크 확장”
  • 우크라이나의 숨은 저격수…러시아 본토 흔드는 에이태큼스의 위력 [리썰웨폰]
  • [글로벌마켓 모닝 브리핑] 숨고르기 장세…기술주는 강세 지속
  • 1분기 실적보니…유한·녹십자·대웅 ‘선방’, 종근당·한미 ‘아쉬워’
  • 푸틴·젤렌스키 직접 대면 불발⋯러, 협상단장에 대통령 보좌관 지명
  • 단독 홍준표 “‘국민의 힘에서’ 은퇴한 것…대선 끝나면 복귀”
  • ‘골때녀’ 원더우먼, 월클에 이어 스밍파에도 3-0 승리...마시마·우희진 활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5 14:1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524,000
    • -1.07%
    • 이더리움
    • 3,633,000
    • -3.3%
    • 비트코인 캐시
    • 559,000
    • -2.87%
    • 리플
    • 3,541
    • -2.21%
    • 솔라나
    • 244,900
    • -4.22%
    • 에이다
    • 1,112
    • -4.14%
    • 이오스
    • 1,091
    • -11.73%
    • 트론
    • 384
    • -0.26%
    • 스텔라루멘
    • 424
    • -3.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100
    • -6.35%
    • 체인링크
    • 23,460
    • -3.77%
    • 샌드박스
    • 483
    • -7.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