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신당창당 후폭풍...부산시장 선거도 변화 바람

입력 2014-03-02 20: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민주당과 안철수 새정치연합의 신당 창당 영향으로 6월 부산시장 선거구도가 큰 변화를 맞을 전망이다.

특히 부산은 새누리당 후보에 맞서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이 유력 후보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야권 신당의 출현으로 야권 후보군의 재편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오 후보는 2일 야권 신당 창당과 관련해 논평을 내고 "'통 큰 연대'의 큰 뜻을 정치권이 화답했다는 의미에서 공감한다"며 "이번 합당추진이 보다 '통 큰 양보'로 국민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행동으로 이뤄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또 양당의 합당추진과 관련해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오직 부산 발전을 위해 부산시민만을 생각하고 있다"며 "부산시민의 뜻에 따르겠다"고 밝혀 변화의 여지를 남겼다.

5일 공식 출마선언을 앞둔 오 전 장관은 3일 서울에서 안철수 의원을 만나 향후 거취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으로 있어 면담 결과에 따라 야권 단일후보로 신당에 참여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오 전 장관은 지금까지 무소속 시민후보로 나서 새누리당에 맞서는 단일후보로 선거에 임할 경우 승리할 수 있다는 셈법에 따라 민주당이나 새정치연합측의 제안을 거부해왔으나 신당 창당으로 야권이 단일화되는 상황에서도 계속 무소속 후보를 고집하며 야권표를 분산할 경우 자칫 새누리당에 어부지리를 줄 수 있다는 부담을 안게 됐다.

물론 오 전 장관이 지금까지 밝혀 온 대로 무소속 시민후보로 지방선거를 완주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새누리당 텃밭이나 마찬가지인 부산에서 야당 소속으로 묶일 경우 시민들로부터 외면받는 결과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오 전 장관은 지난 2004년과 2006년 두차례에 걸쳐 부산시장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출마했다가 새누리당 허남식 후보에 연달아 고배를 마신 적이 있다.

이밖에 민주당 후보로 이미 출사표를 던진 김영춘 전 의원이나 이해성 전 청와대 홍보수석 등 야권후보들의 거취도 관심이 모아진다. 민주당 부산시장 후보로 선거흥행을 위해 경선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야권신당 창당이 어떤 식으로든 후보군 재편 등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신당 단일 후보 선정 과정에서 각자의 셈법에 따라 방법이나 절차를 달리 주장할 경우 단일화 과정이 새로운 문제로 부각될 수도 있다.

한편 새누리당 부산시장 후보군들은 야권 신당 창당에 대해 대체로 예상했던 결과라는 반응들로 향후 선거전략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7월부터 햇살론ㆍ사잇돌대출 등 서민금융도 실시간 온라인 상담 된다
  • 김우빈·신민아, '쇼핑 데이트' 포착…10년째 다정한 모습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종합]가스공사 등 13개 기관 낙제점…'최하' 고용정보원장 해임건의[공공기관 경영평가]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724,000
    • -0.21%
    • 이더리움
    • 5,038,000
    • +2.84%
    • 비트코인 캐시
    • 548,500
    • -0.18%
    • 리플
    • 697
    • +1.16%
    • 솔라나
    • 191,400
    • -1.34%
    • 에이다
    • 545
    • +1.68%
    • 이오스
    • 810
    • +3.98%
    • 트론
    • 163
    • +0%
    • 스텔라루멘
    • 132
    • +3.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50
    • +2.46%
    • 체인링크
    • 20,360
    • +3.98%
    • 샌드박스
    • 459
    • +5.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