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5S·노트3 보조금 전쟁에 ‘가격 폭락’… G2는 ‘공짜'

입력 2014-01-23 14: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2일 저녁부터 시작된 이통사들의 불법 보조금이 23일 새벽 절정에 달했다. 현재 거의 대부분의 게시글이 판매 종료돼 지워진 상태.

이동통신사들이 100만원에 가까운 보조금을 살포했다. 최신 스마트폰인 갤럭시노트3, 아이폰5S는 20만원대, G2는 일부 매장에서 공짜폰으로 판매됐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해 연말 1000억원 과징금을 부과하고 연초부터 시장조사를 하는 등 강화하고 있지만 무용지물이었다.

지난 22일 밤 뽐부 등 휴대폰 관련 사이트에는 100만원에 육박하는 보조금을 제공한다는 스팟성(짧은 시간만 게시되는 광고성 글) 게시물이 끊이질 않았다. 판매점들이 방통위의 모니터링이 약화되는 한밤 중에 이른바 ‘야습’을 통해 대량의 보조금을 살포한 것.

가장 화제가 됐던 것은 G폰이었다. 출고가가 99만9900원인 G폰은 이날 할부원가가 0원까지 떨어졌다. 방통위가 허용하고 있는 보조금 상한선은 27만원이다. 이를 고려했을 때 70만원 가량의 불법 보조금이 지급된 셈이다.

지난해 10월에 나온 갤럭시노트3도 20만원대(29만9000원)로 떨어졌다. 노트3의 출고가는 106만7000원이다. 80만원 가까운 보조금이 풀린 것으로 파악된다. 이날 상당수 업체들은 할부원금 29만9000원인 휴대폰의 할부원금을 79만7000원으로 계산하고 실구매가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 49만8000원을 판매 후 돌려주는‘페이백’형태로 판매를 진행했다.

아이폰5S(16GB)의 할부원가도 20만원대로 폭락했다. 아이폰5S의 출고가는 81만4000원이다. 지난 밤 사이 60만원 안팎의 보조금이 실린 것이다. 좀처럼 보조금이 실리지 않는 아이폰의 특성을 감안하면 보조금 규모가 출시일을 감하면 역대 최고 규모인 것으로 관측된다.

해당 게시물들에는 3개월 일정한 요금제 사용과, 내방판매 등 조건이 걸려있었다. 하지만 대규모 보조금이 살포되자 네티즌들은 그 정도는 감수할 수 있다는 반응이었다. 네티즌들사이에서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고 노트3, G폰 등이 포털 실시간 검색어 상위에 올랐다.

업계 관계자는 “연초 대목을 맞아 가입자를 늘리고, 신제품 출시를 앞두고 재고물량을 소진하기 위해 대규모 보조금을 투입한 것 같다”며 “이 상태로라면 이번주 주말 2차 대규모 보조금이 풀릴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규제 기관인 방통위는 보조금에 대한 강경한 대응을 취할 것이라는 입장을 드러냈다.

방통위 장대호 통신시장조사과장은 “이번 이번 사안에 대해 모니터링 했고, 이용자를 차별하는 이통사들의 불법 보조금행위에 대해 조사를 마쳤다”며 “조만간 제재를 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기업 '하도급 갑질' 꼬리 자른다 [하도급법 사각지대①]
  • '주말 소나기'에도 식지 않는 불볕더위…오후부터 자외선·오존 주의보
  • '엘롯라시코'에 팬들도 탈진…이틀 연속 9:8 '끝내기 혈투'
  • 비트코인, 6만6000달러에서 관망세 계속…"내달 이더리움 ETF 거래 기대감↑"[Bit코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삼성전자, '포브스' 글로벌 순위 21위…전년비 7계단 하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13:3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127,000
    • -0.51%
    • 이더리움
    • 5,032,000
    • +0.18%
    • 비트코인 캐시
    • 592,000
    • -2.63%
    • 리플
    • 686
    • -0.87%
    • 솔라나
    • 207,000
    • +1.97%
    • 에이다
    • 579
    • -0.52%
    • 이오스
    • 902
    • -2.7%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8,100
    • -1.87%
    • 체인링크
    • 20,820
    • +0.73%
    • 샌드박스
    • 523
    • -3.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