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인사 물갈이 예고에 ‘술렁’

입력 2013-03-12 09: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박 대통령 “새정부 국정철학 공유한 인사 임명토록 노력해달라"

"새 정부 국정철학에 맞게 임명하겠다."

박근혜 대통령이 새 정부 첫 국무회의에서 던진 작심 발언으로 공직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공공기관장 인선과 관련해 ‘새 정부의 국정철학 공유’라는 기준을 제시함에 따라 사실상 ‘낙하산 공공기관장’ 교체를 천명했기 때문이다. 또 박 대통령은 공무원들의 직무수행에 대한 철저한 점검을 주문했다. 정부 출범 초 대대적인 인사태풍과 공직기강잡기 신호탄에 공직사회는 바싹 긴장한 모습이다.

박 대통령은 11일 오후 새 정부 첫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각 부처 산하기관과 공공기관에 대해 앞으로 인사가 많을 텐데 새 정부의 국정철학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으로 임명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말했다.

전 정권의 ‘낙하산 인사’ 대못을 뽑고 대신 새 정부의 국정철학을 이행하기 적합한 인물을 배치해 국정 목표와 과제를 흔들림없이 실현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공기업과 공공기관의 ‘낙하산 인사’에 직접 제동을 건 적이 있어 지난 정권에서 임명된 대다수 기관장들의 교체는 정해진 수순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박 대통령은 인사에 도덕적 잣대를 들이대는 데 있어 나름의 고집과 원칙을 보여왔다”며 “이병박(MB) 정권의 낙하산 인사도 평판이나 전문성 등을 기준으로 엄격하게 정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공공기관 경영정보 시스템인 알리오 자료에 따르면 28개 주요 공기업 임원(320명) 가운데 내부 출신은 26.3%(84명)에 불과했다. 대부부의 공공기관 기관장과 임원이 관료 또는 정치권 출신의 ‘낙하산’인 셈이다.

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새 정부가 본격 가동되면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분위기”라면서도 “그렇잖아도 장관 임명이 늦어 어수선한 상황에서 곧 있을 기관장이나 임원들의 인사태풍으로 뒤숭숭숭하다”고 전했다.

청와대는 공직사회 기강 다잡기에도 나섰다.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청와대는 정부 이양기에 나타날 수 있는 공직기강 해이 문제에 대해 각별히 주목하고 있으며 공직자들의 직무수행을 철저히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감사원도 공직감찰본부 소속 정예 감찰인력 85명을 동원, 복무기강 특별점검에 착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948,000
    • +1.66%
    • 이더리움
    • 5,270,000
    • +0.09%
    • 비트코인 캐시
    • 669,000
    • +1.9%
    • 리플
    • 732
    • +0.14%
    • 솔라나
    • 241,700
    • +4.18%
    • 에이다
    • 638
    • +0.16%
    • 이오스
    • 1,122
    • +0.72%
    • 트론
    • 159
    • +0%
    • 스텔라루멘
    • 149
    • +1.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900
    • +1.85%
    • 체인링크
    • 24,500
    • -0.24%
    • 샌드박스
    • 656
    • +3.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