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140兆 CCS시장 진출 '잰걸음'

입력 2009-12-23 10: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두산ㆍ대우조선 등 빠른 행보에 정부 지원 '고민'...국내 기술 개발 필요

국내 대형 조선ㆍ중공업 기업들이 신성장동력의 하나로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CCS, Carbon Capture & Storage)시장 진출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2020년 140조원(지경부 추산)으로 전망되는 CSS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국내 업체들의 CSS시장 진출이 외국기술에 기댄 것이어서 이에 따른 우려도 나오고 있다.

두산중공업의 영국 자회사인 두산밥콕은 미국 전력회사인 베이신 일렉트릭(Basin Electric)과 하루 3000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ㆍ저장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CCS 설계ㆍ디자인 프로젝트를 500만달러에 계약했다고 22일 밝혔다.

이에 따라 두산밥콕은 미국 노스다코타주에서 가동되고 있는 450MW 화력발전소에 들어갈 CCS 설비(120MW급)에 대해 최적화된 설계 디자인을 발주처에 제시하게 됐다.

두산측은 지금까지 CCS의 하루 포집ㆍ저장량이 125톤에서 375톤의 테스트 설비가 대부분으로 3000톤급의 대규모 상용화 설비 프로젝트 진출은 두산밥콕이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두산밥콕 이안밀러 사장은 "현재 실제 발전소에 적용된 대규모 CCS설비는 없다"며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할 경우 두산 CCS 기술의 상용화는 물론, CCS 시장 선점의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0월 대우조선해양은 노르웨이의 사르가스사와 외부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화력발전 설비 공동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사르가스사는 발전단계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연소 후 처리 방법'으로 모아 저장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대우조선해양은 이 기술을 활용해 바다에 떠다니는 부유식 화력발전소나 모듈화된 플랜트 설비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두 회사는 계약을 통해 기본 설계와 제품 상용화, 마케팅 등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남상태 사장은 "두 회사의 기술이 합쳐지면 현재 인류가 직면한 지구 온난화와 전력 수급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 시장의 반응도 좋을 것"으로 예상했다.

두산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이 같은 움직임은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에 부상하고 있는 CCS관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전 세계 화석에너지 수요 증가, 탄소시장 확대에 따라 CCS가 2020년경 상용화돼 관련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이들 기업의 앞선 움직임이 국내 자체 기술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는 정부정책과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점이다. CCS 시장 진출은 대규모 투자와 고도의 기술이 필요해 기업과 정부의 긴밀한 협력이 요구된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기업이 자체 판단을 해서 (CCS시장으로) 가고 있는 것이고, 정부는 조금 늦더라도 우리 기술 개발을 지원해야 하는 입장이라 고민"이라면서 "두산의 경우 캐나다 HTC사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으로 해외기술을 가져와서 좀 빨리 가겠다는 것인데, 기술적으로 종속되는 것은 아닌지 검토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경부는 지난 10월 CCS시장 진출 기업 지원 계획을 밝혔다. 초기에는 정부 지원을 통해 기업의 투자 리스크를 낮추고 상용화 실증 단계에서는 기업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CCS 상용화를 적극 추진할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됐다.

2014년까지는 중소 규모(약 10MW급) 포집 실증 지원을 통해 필요 기술을 확보하고, 2015년부터 기업 컨소시엄 주도로 500MW급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핵심은 해외 수출의 전단계인 500MW급 대규모 실증프로젝트를 기업 컨소시엄 구성으로 하겠다는 것인데, 정부는 일부 기업들이 해외기술을 적용해 상용화를 서두르게 되면 2015년으로 예정된 컨소시엄 구성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 것이다.

이와 관련 LG경제연구원 성낙한 연구원은 "CCS의 상용화까지 적어도 10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해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며 "CCS 프로젝트의 경우 테스트 비용도 많이 들고 기간도 길어 사업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정부의 지원 및 여러 기업들의 합작을 통해 기업의 리스크를 줄여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20일)부터 병원·약국 갈 때 신분증 필수…"사진으로 찍은 신분증은 안 돼"
  • "죄송합니다" 콘서트 끝나자 음주운전 시인한 김호중…팬들 반응은?
  • 금리 인하 기대감에 쑥쑥 오른 비트코인…이번 주 이더리움 ETF 승인 여부에 촉각 [Bit코인]
  • “높은 취업률 이유 있네”…조선 인재 육성 산실 ‘현대공업고등학교’ 가보니 [유비무환 K-조선]
  • 오늘은 '성년의 날'…올해 해당 나이는?
  • 대기업 대출 폭증한 시중은행…중기 기술신용대출은 ‘뚝↓’
  • [상보] 이란, 라이시 대통령 사망 확인…“탑승자 전원 사망 추정”
  • '버닝썬 게이트' 취재 공신은 故 구하라…BBC 다큐 공개
  • 오늘의 상승종목

  • 05.20 15:1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789,000
    • -0.44%
    • 이더리움
    • 4,302,000
    • -0.62%
    • 비트코인 캐시
    • 673,000
    • -1.75%
    • 리플
    • 711
    • -1.93%
    • 솔라나
    • 245,800
    • +1.61%
    • 에이다
    • 653
    • -1.8%
    • 이오스
    • 1,102
    • -2.22%
    • 트론
    • 168
    • -1.18%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90,650
    • -2.84%
    • 체인링크
    • 23,440
    • +1.96%
    • 샌드박스
    • 607
    • -1.7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