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중심의 개인화된 어시스턴트 지향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가 29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 앱인 ‘메타 AI(Meta AI)’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선두주자로 있는 AI 서비스 시장에 메타도 본격적으로 참전하게 됐다.
메타 뉴스룸에 따르면 메타 AI는 메타가 개발한 오픈소스 대규모 언어모델(LLM)인 ‘라마4(Llama)’를 기반으로 구축됐다.
메타는 2023년 9월 AI 챗봇 기능을 공개한 적이 있지만, 이는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와츠앱 등 자사의 기존 플랫폼 내부에 탑재되는 식이었다.
이와 달리 메타 AI는 독립된 앱으로 ‘음성 중심의 개인화된 어시스턴트’를 지향한다.
관련 뉴스
나아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등의 개인 계정을 연결하면 해당 활동을 결합해 더 개인화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고 메타는 강조했다. 또 다른 사람들의 AI 활용을 공유하고 탐색할 수 있는 ‘디스커버(Discover)’ 기능이 포함됐다.
AI 서비스 시장의 경쟁은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현재 챗 GPT의 선전으로 선두주자로 나선 오픈AI 외에도 구글(제미나이), 앤스로픽(클로드), xAI(그록) 등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시장에서는 메타 AI가 현재 경쟁 구도에 얼마나 균열을 낼지 주목하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1월 “올해는 고도로 지능적이고 개인화된 AI 어시트턴트가 10억 명 이상에게 도달하는 해가 될 것”이라며 “메타 AI가 그 선두주자가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메타는 1월 AI 인프라 확장에 올해 최대 650억 달러(약 92조3585억 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