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와 방위사업청이 인공지능(AI)과 반도체, 로봇, 드론 등 민간 첨단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방위산업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낸다.
산업부와 방사청은 30일 ‘2025년도 민군기술협력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총 1134억 원을 투입해 132개 과제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대비 약 32%(277억 원) 증가한 규모다. 이 중 AI와 반도체 등 방산 소재·부품·장비 자립화를 위한 기술개발에만 전체 예산의 약 63%(720억 원)를 집중 투자한다.
올해 추진되는 대표 과제로는 △수륙양용 기동정찰로봇 △초소형 자폭드론시스템 등이 포함됐다. 정부는 민간 신기술이 신속히 군에 적용될 수 있도록 ‘첨단민군 협의체’를 통해 첨단 기술을 발굴하고, 국방부와 협력해 군 소요 결정 이전에도 시범 운용이 가능하게 할 방침이다.
한미 간 방산 협력도 확대된다. 산·학·연·군이 참여하는 ‘함정 MRO 민·군 협의체’를 구성해 수출 기반을 다지고, 정비(MRO) 전문인력 양성과 시험·인증 체계도 함께 구축할 계획이다.
기술 인력 양성에도 힘을 싣는다. 기계·소재, 전기·전자, 우주항공 등 방산 기반산업 분야에 연간 600억 원을 투자해 2000명 이상의 전문 인력을 양성할 예정이다.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한 민군 공동 연구개발(R&D)도 추진된다. MIT, 프라운호퍼 등 해외 연구기관에 설치된 ‘글로벌 산업기술 협력센터’를 거점으로 수출형 부품 개발을 뒷받침하고, 해외 국방 수요 기반 기술개발도 병행한다.

정부는 제도적 기반 강화를 위해 '민군기술협력사업 촉진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민군기술협력사업은 지난 1999년 시작된 대표적 범부처 협력사업으로, 15개 부처가 참여한다. 민군 겸용기술 개발(Spin-up), 민간기술의 국방 활용(Spin-on), 국방기술의 민간 확산(Spin-off)을 아우른다.
그간의 주요 성과로는 차세대 초고속정(20톤급·60노트 이상), 침수 대응 지능형 기술 기반 구축함용 해수펌프 등이 있다. 모두 군의 시험평가를 거쳐 우수성을 입증받았으며, 수출 확대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박성택 산업부 차관은 “첨단화되는 미래 방산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AI, 드론 등 민간의 첨단기술과 방위산업 간 융복합을 통한 기술혁신이 중요하다”라며 "방위산업의 수출 전략산업화를 뒷받침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민군 협력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강환석 방사청 차장은 “방위산업을 국가의 미래성장동력으로 삼기 위해서는 민군 기술의 상호발전을 통한 선순환 구조의 협력체계가 중요하다”면서 “방위산업 4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민군기술협력사업 관련 정책들을 적극적으로 관리․육성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