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車관세 충격 완화 조치 나서…업계, 한숨 돌리나

입력 2025-04-29 14: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복 해소…철강·알루미늄 관세 미적용
부품 관세 일부 환급 조치
러트닉 상무장관 “업체·노동자와 파트너십 구축”

▲2024년 주요국 대미국 자동차 수출액. 단위 10억 달러. 위에서부터 멕시코 일본 한국 캐나다 독일 영국 슬로바키아 스웨덴. 출처 스태티스타
▲2024년 주요국 대미국 자동차 수출액. 단위 10억 달러. 위에서부터 멕시코 일본 한국 캐나다 독일 영국 슬로바키아 스웨덴. 출처 스태티스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고율의 자동차 관세가 초래할 충격을 완화하려는 조치에 나선다. 자동차 관세에 다른 관세가 중복으로 부과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부품 관세 일부도 완화할 방침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9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이달 초 시행된 외국산 자동차 관세와 관련해 납부 기업에 철강·알루미늄 관세 등 다른 관세가 중첩 부과되지 않도록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 조치는 소급 적용되며 자동차 회사들은 이미 낸 관세를 환급받을 수 있다.

또 트럼프 행정부는 내달 3일 발효되는 25%의 외국산 부품 관세도 수정해 자동차 제조사가 1년간 미국에서 생산하는 자동차 가격의 3.75%에 해당하는 금액까지 관세를 환급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환급액은 2년 차에는 자동차 가격의 2.5%로 낮아지고 이후 단계적으로 폐지된다.

트럼프 행정부도 WSJ 보도를 확인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국내 자동차 제조업체, 미국의 위대한 노동자들 모두와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며 “이번 합의는 국내 제조 기업에 혜택을 주는 동시에, 미국 내 투자와 국내 생산 확대를 선언한 제조사들에 길을 열어주는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정책에 큰 승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 관세 기조에서 한발 뒤로 물러나기로 한 것은 자국 자동차 기업들의 의견을 일부 수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 소식통은 “트럼프 행정부와 거의 매일 연락을 주고받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일정한 구제 조치를 확보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그 대가로 국내 제조를 둘러싼 목표를 추진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전했다. 앞서 자동차혁신연합(AAI) 등 6개 단체는 지난주 트럼프 행정부에 서한을 보내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를 철회할 것을 요청했다.

이로써 트럼프 행정부는 자동차업체들에 부품 공급망을 미국으로 되돌릴 시간을 줘 회사들이 당분간 한숨 돌릴 수 있게 됐다고 WSJ는 평가했다. 메리 바라 제너럴모터스(GM)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자동차산업과 우리에 의존하는 수백만 미국인을 지원한 트럼프 대통령께 감사하다”며 “트럼프 대통령 및 행정부와의 생산적 대화를 고맙게 생각하며 앞으로도 계속 협력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짐 팔리 포드 CEO도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을 환영하고 높이 평가한다”며 “자동차 제조업체, 공급업체, 소비자에 대한 관세의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미국 자동차 산업의 건전한 성장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비전을 지지하며 정부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9일 오후 미국 자동차산업 중심지인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취임 100일 기념행사를 연다. 이때 이 같은 조치가 공식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융사고 'CEO 제재' 별도 심의기구 만든다['책임의 각인' 증권사 책무구조 上]①
  • 세계 곳곳서 무력 충돌...K방산, 수주에 잰걸음
  • 미·이란, 4차 고위급 핵 협상 마무리…“입장 가까워지고 있어”
  • 저속노화, 식단 하나로 OK?…더 중요한 ‘이것’ [지금은 저속노화 시대②]
  • D램 3사, 가격 줄인상…관세 덮치는 하반기엔 더 오를듯
  • ‘롯데손보 콜옵션 후폭풍’ 금융당국, 보험사 킥스 비율 '예의주시'
  • 이재명 ‘과잉 경호’ 논란…'기호 3번 신한국당' 한덕수? [후보와 세끼]
  • 이혼 하자마자 연락 두절⋯양육비 안 주는 '배드 페어런츠' [서초동 MSG]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2 09: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482,000
    • +0.16%
    • 이더리움
    • 3,518,000
    • -1.79%
    • 비트코인 캐시
    • 570,000
    • -4.6%
    • 리플
    • 3,306
    • -3.47%
    • 솔라나
    • 242,300
    • -2.22%
    • 에이다
    • 1,124
    • -3.35%
    • 이오스
    • 1,291
    • -0.69%
    • 트론
    • 371
    • +0.54%
    • 스텔라루멘
    • 428
    • -3.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600
    • -4.87%
    • 체인링크
    • 23,870
    • -0.54%
    • 샌드박스
    • 501
    • -2.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