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외투 확대·유턴기업 지원 박차…지자체와 '맞손'

입력 2025-04-28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산업부, '중앙-지방 정책협의회' 개최
통상환경 급변 대응…“투자 모멘텀·국내복귀 지원 강화”

▲산업통상자원부 (이투데이DB)
▲산업통상자원부 (이투데이DB)

정부가 외국인 투자를 늘리고, 유턴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힘을 모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16개 지방자치단체, 6개 경제자유구역청, 코트라, 한국산업단지공단 등 관계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중앙-지방 외국인투자 정책협의회'를 열었다.

이번 협의회는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 글로벌 공급망 재편, 미·중 무역 갈등 등 급변하는 대외 통상환경에 대응해 외국인 투자 확대 전략과 유턴기업 지원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업부는 지난해 345억7000만 달러(신고 기준)의 외국인 직접투자를 유치한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64억1000만 달러를 유치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탄탄한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각 지자체와 경제자유구역청의 적극적인 투자유치 활동, 정주여건 개선, 산업기반 강화 노력이 뒷받침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2025 경제정책방향'과 '외국인투자촉진 시책'에 따라 외국인투자기업 지원과 투자환경 개선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상호관세 영향 분석, 업계 및 전문가 의견수렴, 연구용역 등을 통해 변화된 통상환경에 대응하는 새로운 투자 촉진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할 방침이다.

특히 미국의 고율 관세 적용과 글로벌 리쇼어링(해외 생산기지의 본국 이전) 흐름에 발맞춰 국내 복귀 유턴기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산업부는 지자체에 유턴기업 유치를 위한 부지·인프라·고용환경 조성 및 기업 맞춤형 지원책 마련을 적극 당부했다.

정 본부장은 "급격한 통상환경의 변화 속에서도 외국인 투자 확대와 유턴기업 유치는 국가 산업경쟁력 강화와 지역경제 활력 유지의 핵심"이라며 "지자체, 경제자유구역청과 긴밀히 협력해 외국인 투자 및 유턴기업 유치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중갈등ㆍ관세전쟁, ‘ESG 경영’ 난관…전문가들 지속가능 전략 모색 [2025 지속성장전략 포럼]
  • 단독 삼성월렛, 新 상품권 출원⋯뉴 디지털 금융 플랫폼 대전환 예고
  • 상대방 송금계좌가 의심된다면…‘사기 의심 계좌 조회 서비스’로 확인해보자 [경제한줌]
  • 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0.8% 하향 조정…“건설경기 부진 및 소비 회복 더뎌”
  • 팅커벨 출몰…2025버전 동양하루살이 전쟁 발발 [요즘, 이거]
  • "투표지 SNS에 올리면 벌금"…21대 대선 사전투표 유의사항은? [데이터클립]
  • 대기업 몰리자 ‘20억’ 신고가⋯훈풍 부는 마곡 집값
  • "입덕 계기? '고잉 세븐틴' 봤어요"…요즘 아이돌은 '자컨'으로 말한다 [엔터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795,000
    • -0.19%
    • 이더리움
    • 3,793,000
    • +3.61%
    • 비트코인 캐시
    • 587,000
    • +1.29%
    • 리플
    • 3,195
    • +0.06%
    • 솔라나
    • 239,600
    • -0.79%
    • 에이다
    • 1,044
    • -0.48%
    • 이오스
    • 1,045
    • -0.57%
    • 트론
    • 385
    • +0.52%
    • 스텔라루멘
    • 398
    • -0.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000
    • +0.39%
    • 체인링크
    • 21,970
    • -0.23%
    • 샌드박스
    • 427
    • +0.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