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미국 성장률 0.4% 그칠 듯…‘월가 큰손’ 그리핀 “제조업 일자리 안 돌아온다”

입력 2025-04-27 15: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월 신규 고용 15만 명으로 둔화 전망

▲미국 경제성장률 추이. 단위 %. 연율 기준. 1분기 예상치 0.4%. 출처 블룸버그
▲미국 경제성장률 추이. 단위 %. 연율 기준. 1분기 예상치 0.4%. 출처 블룸버그
미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거의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설문조사에서 1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연율 0.4%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4분기 GDP 증가율 확정치 2.4%와 비교했을 때 급격하게 꺾인 수치다. 정확한 수치는 30일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가 본격적으로 발동하기에 앞서 기업들이 상품 수입을 앞당기면서 무역 적자가 커져 1분기 경제 전체 발목을 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또 소비자들은 자동차 등 관세로 인해 가격이 인상될 가능성이 있는 상품을 서둘러 구매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

내달 2일 나올 4월 고용지표도 전달 대비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 월가는 이달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이 15만 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달 수치는 20만9000명 증가였다. 다만 전문가들은 예상 실업률에 대해 전월과 같은 4.2%를 유지했다.

또 이코노미스트들은 올 들어 3분기까지 미국 GDP 증가율이 1% 미만의 부진한 모습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민간 투자가 위축되고 고용 안정에 대한 우려가 커진 소비자들이 구매를 제한할 것으로 우려했다.

이런 암울한 전망은 트럼프 행정부가 촉발한 글로벌 무역 갈등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부터 미국 경제가 이미 침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금융시장이 경제 전망에 과민하게 반응하는 상황에서 이 전망이 들어맞는다면 경기침체와 고용 시장 경색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있다.

공화당 지지자이자 미국 헤지펀드 업계 거물인 켄 그리핀 시타델 최고경영자(CEO)는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전날 스탠퍼드대 경영대학원 강연에서 “제조업 추가 일자리 창출의 꿈은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며 “생산 자동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공장에 일자리를 되돌리기보다는 미국의 강점인 지식재산권이나 콘텐츠 제작을 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문수 후보직 박탈-한덕수로 강제교체...파국 치닫는 국힘
  • 3050 공략 스테디셀러 ‘삼국지 IP’, 어떤 게임 해볼까? [딥인더게임]
  • “러닝족은 귀하신 몸”…패션업계, 러너 체험 마케팅·전문관 봇물
  • ‘단종할 땐 언제고’...식품업계, 저비용·높은 화제성 노린 재출시 열풍
  • “유심 털리니 계좌도 걱정”…은행권, ‘얼굴 인증’ 강화
  • 죽은 연애 세포 되살려내는 '바이러스'…배두나·김윤석·장기하의 만남 [시네마천국]
  • "이곳저곳 떠나보세요"…황금연휴, 가족 행사로 마무리하는 법 [주말N축제]
  • 중국, 미국 수출 제재에도 엔비디아 칩 확보한 방법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