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 현장 방문…유인촌 "여행 캠페인으로 지역경제 위축되지 않도록 할 것"

입력 2025-04-23 13: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3~24일 경북 영덕ㆍ안동 방문…'여행+동행 캠페인' 추진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투데이DB)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투데이DB)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산불 피해가 심각했던 경북 영덕과 안동을 방문, 조속한 복구를 지원하는 여행 캠페인을 추진한다.

유 장관은 23일부터 이틀간 경북 영덕과 안동을 방문해 지역 주민, 관광 업계 등과 함께 산불 피해 현장을 점검한다. 이번 출장에는 장미란 차관도 동행한다.

유 장관은 "범정부적으로 산불 피해 지역의 조속한 복구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이고, 관광객 감소 등으로 인해 지역 경제가 위축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체부는 이날부터 이틀간 산불 피해지역 관광 수요 회복을 위해 '여행+동행 캠페인'을 시작한다. 캠페인의 일환으로 △지역 방문 혜택 강화 △관광 이미지 회복 위한 국내외 홍보 △지역 특화 여행상품 개발 △주요 행사 및 연수회 개최 독려 등을 추진한다.

먼저 유 장관은 이날 영덕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인 대게거리를 찾는다. 지자체, 지역 상인회와 함께 지역 특화 먹거리를 통한 관광 수요 회복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후 삼사해상공원과 산책로 등을 방문한다.

'코리아둘레길'의 동해 구간인 해파랑길 21코스 현장도 방문해 산불 피해 상황을 점검한다. 현재 이 구간 중 일부가 산불 피해로 인해 현재까지도 통제된 상황이다. 유 장관은 현장에서 직접 복구 계획을 점검한다.

유 장관은 영덕에서 안동으로 이동해 안동구시장의 찜닭 골목을 방문한다. 유 장관은 이곳에서 전통시장 연계 관광상품화 등에 대해 논의한다. 대표 야간 관광지인 월영교도 방문해 관광 활성화를 유도한다.

24일에는 장 차관이 안동 하회마을을 방문한다. 장 차관은 지역주민과 함께 하회마을을 둘러본 후 지자체, 관광업계, 유관기관 관계자 등과 함께 산불 피해 이후 위축된 지역의 관광 동향과 건의 사항을 청취한다.

마지막으로 장 차관은 안동시 이재민 임시거주시설에서 열린 감사제 현장을 방문한다. 감사제는 이번 대형 산불로 인해 피해를 입은 지역주민과 자원봉사자들을 위해 마련한 특별 행사다.

유 장관은 "지역에 방문해 관광하는 것이 곧 지역의 일상 회복을 돕는 것인 만큼, 산불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에 더욱 많이 방문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투자 확대 10곳 중 1곳 뿐⋯'경제 한파' 이미 시작됐다 [차기정부 기업과제 설문]
  • 타스만·무쏘EV 출격에 ‘픽업트럭 전성기’ 열렸다 [ET의 모빌리티]
  • “출근길 67점, 퇴근 후 39점”…얼굴로 본 스트레스 보고서 ‘마음첵’ [써보니]
  • 은행 예금 ‘식고’ 저축은행 ‘후끈’…예테크족 시선 집중
  •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30대 징역 1년 6개월·20대 징역 1년
  • 서울 부담에 인천으로 눈 돌린 30대…서구·미추홀구 거래 폭증
  • 이도현, 군 전역 후 소감 밝혀…“행복한 기억, 좋은 마음으로 전역했다”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4 15:2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802,000
    • +0.82%
    • 이더리움
    • 3,740,000
    • +7.97%
    • 비트코인 캐시
    • 574,500
    • +2.04%
    • 리플
    • 3,635
    • +3.24%
    • 솔라나
    • 256,300
    • +6.35%
    • 에이다
    • 1,160
    • +4.22%
    • 이오스
    • 1,237
    • +1.81%
    • 트론
    • 386
    • +4.61%
    • 스텔라루멘
    • 440
    • +2.0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400
    • +2.27%
    • 체인링크
    • 24,300
    • +4.97%
    • 샌드박스
    • 521
    • +5.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