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 가는 하늘길 열린다

입력 2024-06-30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 7회 여객ㆍ화물 정기편 운항 신설 합의

▲11일 오후 제주국제공항에서 한 항공기가 이륙하며 활주로에 고인 빗물을 튕겨내고 있다.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함. (연합뉴스)
▲11일 오후 제주국제공항에서 한 항공기가 이륙하며 활주로에 고인 빗물을 튕겨내고 있다.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함. (연합뉴스)
코카서스 3국 중 하나인 조지아로 가는 하늘길이 열린다.

국토교통부는 26~27일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열린 한-조지아 항공회담에서 양국 간 여객 및 화물 정기편 운항을 위한 운수권 신설 등에 합의했다고 30일 밝혔다.

한-조지아 간에는 항공협정이 2021년 발효됐으나 양국 간 공급력 설정을 위한 항공회담 개최가 지연되면서 직항노선은 부정기편을 통해서만 운항 중이다.

조지아는 코카서스 3국(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중 하나로 흑해 연안에 위치한다. 최근 트레킹, 와인 등이 주목받으면서 새로운 여행지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9835명이 방문했다. 또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교역 중심지에 위치해 양국 간 교역액(207만 달러)도 지속 증가되고 있다.

특히 양국 간 경제동반자협정(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EPA) 체결을 위한 협상이 올해 2월부터 진행되고 있어 경제 협력 확대가 더욱 기대된다. EPA는 FTA와 같이 관세철폐 등 시장개방 요소를 포함하면서도 상대국과의 공동번영을 목적으로 협력요소를 강조하는 통상협정을 말한다.

항공회담에서는 여객·화물 공용 운수권 주 7회를 신설하는 데 합의해 양국 항공사는 각국의 수요에 맞게 여객 정기편 또는 화물 정기편을 주 7회 범위에서 탄력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양국 항공사의 자유로운 간접운항체계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자국·양국 항공사뿐 아니라, 제3국 항공사의 참여도 가능토록 편명공유(Codesharing) 조항을 설정했다.

예를 들어 우리 국적사가 인천→중앙아시아(예. 카자흐 또는 우즈베크)까지 운항하고 제3국 항공사가 중앙아시아→트빌리시까지 각각 운항하나 코드쉐어를 통해 국적사를 통한 일괄발권, 양 구간 마일리지 적립, 수하물 연계 운송 등이 가능하다.

김영국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운수권 설정에 합의한 만큼, 양국 간 인적·물적 교류 확대와 함께, 항공사 간 편명공유를 통해 조지아를 가고자 하는 국민의 항공교통 이동 편의 향상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융사고 'CEO 제재' 별도 심의기구 만든다['책임의 각인' 증권사 책무구조 上]①
  • 세계 곳곳서 무력 충돌...K방산, 수주에 잰걸음
  • 미·이란, 4차 고위급 핵 협상 마무리…“입장 가까워지고 있어”
  • 저속노화, 식단 하나로 OK?…더 중요한 ‘이것’ [지금은 저속노화 시대②]
  • D램 3사, 가격 줄인상…관세 덮치는 하반기엔 더 오를듯
  • ‘롯데손보 콜옵션 후폭풍’ 금융당국, 보험사 킥스 비율 '예의주시'
  • 이재명 ‘과잉 경호’ 논란…'기호 3번 신한국당' 한덕수? [후보와 세끼]
  • 이혼 하자마자 연락 두절⋯양육비 안 주는 '배드 페어런츠' [서초동 MSG]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2 12:3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492,000
    • +0.65%
    • 이더리움
    • 3,525,000
    • -0.48%
    • 비트코인 캐시
    • 572,500
    • -1.8%
    • 리플
    • 3,352
    • +0.21%
    • 솔라나
    • 243,800
    • -0.33%
    • 에이다
    • 1,145
    • +0.7%
    • 이오스
    • 1,287
    • -0.77%
    • 트론
    • 375
    • +1.35%
    • 스텔라루멘
    • 437
    • -0.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300
    • -2.26%
    • 체인링크
    • 23,960
    • +1.27%
    • 샌드박스
    • 505
    • -0.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