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금융권 집단대출 3년간 3.1배 급증...당국 관리 강화에 증가폭 감소 가능성↑

입력 2023-10-03 15: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위원회는 8월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세훈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의 주재로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주택금융공사, 은행연합회, 금융연구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가계부채 현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는 8월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세훈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의 주재로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주택금융공사, 은행연합회, 금융연구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가계부채 현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농협과 수협, 신협 등 상호금융권의 집단대출 규모가 3년간 약 3.1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주택담보대출 잔액 추이 자료에 따르면 2020년 6월 3조9259억 원에서 올해 6월 말 12조1034억 원으로 8조1775억 원(3.1배) 급증했다.

2021년 6월 말 직전 분기 대비 4350억 원 증가한 이후 올해 6월까지 꾸준히 증가세였다. 올해 3월 말 가계 집단 대출 규모(11조7483억 원)와 비교하면 석 달 새 3% 증가했다.

집단대출은 주택담보대출 중 신규 분양, 재건축·재개발아파트 입주예정자 등 일정 자격요건을 갖춘 차주 집단을 대상으로 개별 심사 없이 일괄적인 승인으로 이뤄지는 대출이다. 신규 아파트 분양자를 대상으로 한 중도금 대출, 재건축 사업 추진 기간 조합원의 이주 자금을 지원하는 이주비 대출 등이 대표적이다.

앞서 신협, 농협, 수협 등 상호금융권은 지난해 말 부동산 경기 침체, 프로젝트파이낸싱(PF)부실 우려 등에 따라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부동산 개발 공동대출과 아파트 집단대출 등의 신규 취급을 중단했다가 올해 초 재개한 바 있다.

다만, 금융당국이 집단대출을 가계부채 확대 위험이 큰 부문이라고 지적한 만큼 향후 집단대출 증가폭이 감소할 가능성도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공급된 50년 만기 주담대 8조3000억 원 중 집단대출이 4조5000억 원(54.9%), 개별주담대가 3조7000억 원(45.1%)인 것으로 집계됐다. NH농협은행의 집단대출 취급 규모는 1조4000억 원으로 가장 컸고, 상호금융 중에서는 수협이 1조1000억 원으로 최다였다.

금융당국은 앞서 지난달 열린 ‘가계부채 현황 점검회의’에서 50년 만기 주담대 취급실태를 점검하며 “차주 단위 심사가 상대적으로 미비한 집단대출의 비중이 개별주담대보다 큰 측면이 있다”며 “가계부채 확대 위험이 큰 집단대출 부문 관리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무대를 뒤집어 놓으셨다…'국힙원탑' 민희진의 기자회견, 그 후 [해시태그]
  • [유하영의 금융TMI] 위기 때마다 구원투수 된 ‘정책금융’…부동산PF에도 통할까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번엔 독일행…글로벌 경영 박차
  • ‘이재명 입’에 달렸다...성공보다 실패 많았던 영수회담
  • ‘기후동행카드’ 청년 할인 대상 ‘만 19~39세’로 확대
  • "고구마에도 선이 있다"…'눈물의 여왕' 시청자들 분노 폭발
  • 투자자들, 전 세계 중앙은행 금리 인하 연기에 베팅
  • 잠자던 '구하라법', 숨통 트이나…유류분 제도 47년 만에 일부 '위헌'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0,948,000
    • +0.11%
    • 이더리움
    • 4,742,000
    • +4.36%
    • 비트코인 캐시
    • 686,500
    • +0.07%
    • 리플
    • 744
    • -0.13%
    • 솔라나
    • 202,900
    • +1.86%
    • 에이다
    • 668
    • +1.37%
    • 이오스
    • 1,156
    • -1.37%
    • 트론
    • 173
    • -0.57%
    • 스텔라루멘
    • 163
    • -0.61%
    • 비트코인에스브이
    • 96,200
    • +1.42%
    • 체인링크
    • 20,170
    • +0.25%
    • 샌드박스
    • 658
    • +2.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