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우외환’ 영화관 시장 살아나려면?…“소비자 공간 가치 창출해야”

입력 2023-10-01 0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알스퀘어 '2023 영화관 시장 보고서' 발간

(자료제공=알스퀘어)
(자료제공=알스퀘어)

코로나19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성장으로 갈림길에 선 영화관 산업이 반등하기 위해선 프리미엄 상영관 확대와 용도 전환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간과 경험의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일 상업용 부동산 종합 서비스 기업 알스퀘어가 발간한 '2023 영화관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영화관 시장은 엔데믹 전환에도 예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티켓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지 못하고 있고, OTT와의 경쟁에서 고전하고 있다. 자산 가치가 떨어지면서 거래도 뜸하다.

알스퀘어 분석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영화관 목적의 거래 규모는 64억 원을 기록했다. 거래 건수도 ‘인천 CGV 주안역’ 단 1건에 그쳤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 거래 규모가 3347억 원, 팬데믹을 겪던 2021년에 506억 원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사실상 ‘거래 가뭄’이다.

팬데믹과 금리 상승 영향으로 투자수익률 지표인 캡 레이트는 2019년 5.38%에서 2022년 6.56%까지 상승했다. 통상 캡 레이트는 매매가와 반비례 관계다. 최규정 알스퀘어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영화관 투자시장은 올해도 큰 이변이 생기지 않는다면 거래량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며 반등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영화관 산업이 반등하기 위해선 영화적 경험을 위한 차별화 콘텐츠와 용도 전환, F&B 다각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알스퀘어가 영화진흥위원회 자료를 분석한 데 따르면 상반기 특수상영(3D∙4D∙아이맥스 등) 매출액은 790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48.6% 증가했다. CGV 상영관에서 콘서트나 오페라, 스포츠 등을 상영하는 ‘얼터너티브 콘텐츠’ 관람객은 2021년 21만 명에 그쳤지만, 올해는 1분기에만 37만1000 명으로 급증했다.

골프연습장과 클라이밍 짐, 식음료(F&B) 브랜드 플래그십스토어 등으로 영화관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과 F&B 브랜드와 협업을 통해 새로운 메뉴를 개발해 매점 수익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최 연구원은 "엔데믹 이후에도 영화관 산업은 빠르게 회복하지 못하고 있지만, 소비자에게 경험 가치와 공간 가치를 적극적으로 제공한다면 현재 어려운 상황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네이버 “지분매각 포함 모든 가능성 열고 소프트뱅크와 협의 중”
  • 투명 랩 감고 길거리 걸었다…명품 브랜드들의 못말리는(?) 행보 [솔드아웃]
  • 애플, 아이패드 광고 ‘예술·창작모욕’ 논란에 사과
  • 변우석, '럽스타그램' 의혹에 초고속 부인…"전혀 사실 아냐"
  • 기업대출 ‘출혈경쟁’ 우려?...은행들 믿는 구석 있었네
  • 1조 원 날린 방시혁…그래도 엔터 주식부자 1위 [데이터클립]
  • 현대차, 국내 최초 ‘전기차 레이스 경기’ 개최한다
  • 덩치는 ‘세계 7위’인데…해외문턱 못 넘는 ‘우물 안 韓보험’
  • 오늘의 상승종목

  • 05.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797,000
    • +3.04%
    • 이더리움
    • 4,222,000
    • +1.73%
    • 비트코인 캐시
    • 631,000
    • +0.64%
    • 리플
    • 717
    • +0%
    • 솔라나
    • 214,100
    • +7.75%
    • 에이다
    • 645
    • +2.54%
    • 이오스
    • 1,150
    • +3.51%
    • 트론
    • 175
    • +0%
    • 스텔라루멘
    • 153
    • +2.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0,150
    • +3.92%
    • 체인링크
    • 19,910
    • +0.91%
    • 샌드박스
    • 622
    • +4.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