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전쟁 마무리 국면에 ‘2% 목표치’ 논쟁...연준 “골대 바꿔선 안 돼”

입력 2023-08-23 15:05 수정 2023-08-23 16: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물가 목표 회의론 확산…“과학·절대 불변 규칙 아냐”
경제 피로도 고조…실업률 상승·경기 둔화 위험
연준, 정책 신뢰 훼손 우려에 목표 고수
리치먼드 연은 총재 “‘상상속의 유니콘’ 아냐…달성 가능”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5월 3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기자회견 장면이 모니터에 나타나 있다. 뉴욕(미국)/AP뉴시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5월 3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기자회견 장면이 모니터에 나타나 있다. 뉴욕(미국)/AP뉴시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에서 승기를 잡아가면서 2%로 정한 물가상승률 목표치가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고 2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

인플레이션을 낮추려는 연준의 작업은 마무리 국면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40년 만에 가장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을 진행하면서 물가는 진정 국면에 진입했다. 연준이 물가를 판단하는 주요 자료로 쓰는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6월에 전년 동월 대비 3% 상승했다.

여전히 연준의 목표치인 2%까지는 아직 갈 길이 남은 상태다. WSJ는 일반적으로 물가상승률이 연준 목표치에 도달하는 데 약 3년의 시간이 걸린다고 전했다.

최근 들어 물가상승률 2%대 복귀 효용성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연준이 금리를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연 5.25%~5.50%까지 높이면서 경제 전반에 피로도가 쌓였기 때문이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실업률 상승이나 경기둔화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2%의 목표치를 고수할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물가상승률이 크게 둔화한 만큼 3%대의 새로운 목표치를 세우자는 주장도 제기됐다.

미국 민주당 소속의 로 한나 하원의원(캘리포니아)은 “물가상승률 2% 목표치는 정치적인 판단일 뿐, 과학이 아니다”라며 “특정한 숫자를 성배로 삼는 것을 판단을 위한 올바른 방법이라고 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애덤 포즌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소장도 “물가상승률 목표치는 절대불변의 규칙이 아니다”라며 “인플레이션 수치를 3.5%에서 2.25%로 낮추자고 경제를 짓누르는 행위는 경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러한 반론에도 연준은 2%의 목표치를 고수하겠다는 입장이다. 제롬 파월 의장과 연준 위원들은 그런 식으로 골대를 옮기는 것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고 선을 긋고 있다. 목표를 도중에 변경하면 미국 금융 정책 당국이 신뢰를 잃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목표치 수정은 고려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반복해왔다. 토머스 바킨 리치몬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미국 버지니아주 상공회의소 주최 행사에서 “2%의 목표치는 결코 달성할 수 없는 ‘상상속의 유니콘’ 같은 개념이 아니다”라며 “불과 2년 반 전만 해도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은 2%였다. 또 대부분의 중앙은행이 약 2%의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내걸고 있으며, 이를 유지하는 것을 지지하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또한 현재 미국 경제가 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만큼 목표 달성에 큰 고통이 뒤따르지 않을 것이라는 낙관론도 있다. 실업률을 크게 자극하지 않으면서도 2년 안에 물가상승률 2% 목표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현재 미국 경제에 대해 “연착륙으로 향하는 길이 더 넓어졌다”고 진단했다. 바킨 총재도 최근 인플레이션율이 예상보다 더 크게 둔화한 것을 언급하면서 “미국 경제가 심각한 경기 후퇴에 빠지지 않고 물가 안정을 되찾는 연착륙을 실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즐거우세요?” 밈으로 번진 방시혁-민희진 내분…‘하이브 사이비’ 멱살 잡힌 BTS [해시태그]
  • 단독 부산‧광주‧대구 ‘휘청’…지역 뿌리산업 덮친 ‘회생‧파산 도미노’
  • '겨드랑이 주먹밥' 등장한 일본…10배나 비싸게 팔리는中
  • 홍콩은 거래 시작인데…美 이더리움 현물 ETF는 5월 승인 ‘먹구름’
  • HLB, 간암 신약 美FDA 허가 초읽기…‘승인 확신’ 이유는?
  • ‘휴진’ 선언한 서울대병원…우려한 진료 차질 없어 [가보니]
  • “주담대 선택할 땐 금리가 가장 중요…고정금리 선호도 올라”
  • 산은이 '멱살' 잡고 가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D-데이'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233,000
    • -3.64%
    • 이더리움
    • 4,220,000
    • -6.68%
    • 비트코인 캐시
    • 610,000
    • -7.01%
    • 리플
    • 711
    • -3.66%
    • 솔라나
    • 174,900
    • -9.1%
    • 에이다
    • 619
    • -4.18%
    • 이오스
    • 1,070
    • -5.73%
    • 트론
    • 170
    • +0%
    • 스텔라루멘
    • 151
    • -4.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950
    • -7.61%
    • 체인링크
    • 18,490
    • -7.5%
    • 샌드박스
    • 580
    • -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