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C '왕십리·인덕원·의왕·상록수역' 추가 정차…B노선도 3개역 추가

입력 2022-02-24 14: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C노선 지상화 구간 재검토

▲GTX 노선도 (사진제공=국토교통부)
▲GTX 노선도 (사진제공=국토교통부)
정부가 경기도 양주 덕정~수원을 잇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C노선에 왕십리·인덕원·의왕·상록수역 등 4개 역을 추가하고 인천 송도~남양주 마석을 연결하는 B노선에도 향후 3개 역을 추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2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GTX 사업 현황과 향후 계획'을 밝혔다.

국토부가 현재 추진 중인 GTX 사업은 A~D 노선까지 모두 4개다. 가장 사업 진행이 빠른 A노선(운정~동탄)은 2024년 개통될 예정이다. 다만 완공 이후에도 현재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삼성역복합환승센터(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일정에 따라 2028년 4월까지는 삼성역을 무정차 통과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B노선은 올해 중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C노선은 상반기 중 실시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D노선으로 불리는 서부권 광역급행철도는 올해 말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을 목표로 한다.

이날 국토부는 애초 창동·광운대·청량리·삼성·양재 등 10개 역으로 기획된 C노선에 왕십리·인덕원·의왕·상록수역을 추가한다고 밝혔다. 최종 안은 상반기 실시협약을 거쳐 향후 한국개발연구원(KDI) 검토 및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확정된다.

설계계획이 지하화에서 지상화로 변경된 도봉 구간(창동역~도봉산역) 설계와 관련해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재검토를 진행할 방침이다.

B노선도 3개 역을 추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B노선은 올해 상반기 재정구간에 대해 기본계획을 고시하고 민자구간에 대해서는 시설사업기본계획(RFP)을 고시하는데 추가역은 지자체 의견수렴 등을 거쳐 사업자가 제안하도록 RFP에 반영될 예정이다.

이날 BㆍC노선에 정차역이 추가된 것과 관련해 다음 달 대선을 앞두고 지역 표심을 얻기 위한 발표라는 지적이 나온다. 강희업 국토교통부 철도국장은 "그동안 여러 차례 얘기가 나오면서 어느 정도 다 알려진 내용이다. 정부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자가 지자체 협의를 거쳐 제안하는 것이므로 정치적 일정과는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1:0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984,000
    • -0.93%
    • 이더리움
    • 5,236,000
    • -1.63%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46%
    • 리플
    • 727
    • -0.14%
    • 솔라나
    • 233,600
    • +0.39%
    • 에이다
    • 627
    • -1.1%
    • 이오스
    • 1,123
    • +0%
    • 트론
    • 155
    • +1.31%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300
    • -0.46%
    • 체인링크
    • 26,040
    • +2.28%
    • 샌드박스
    • 620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