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혹한 현실' 본 이재용… 쇄신 인사로 '미래준비'

입력 2021-12-07 11: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컨트롤타워 부활 없어… 사업지원TF 중심 '뉴삼성' 도약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아랍에미리트(UAE) 출장을 위해 6일 오후 서울김포비지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출국하고 있다.  이 부회장은 UAE와 사우디아라비아 등을 찾아 글로벌 네트워크를 복원하고, 새로운 트렌드를 확인하는 한편 신사업 기회 등을 모색할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아랍에미리트(UAE) 출장을 위해 6일 오후 서울김포비지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출국하고 있다. 이 부회장은 UAE와 사우디아라비아 등을 찾아 글로벌 네트워크를 복원하고, 새로운 트렌드를 확인하는 한편 신사업 기회 등을 모색할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대표이사 3인을 교체하는 등 7일 단행한 '2022년 정기 사장단 인사'의 가장 큰 특징은 '쇄신' 및 '미래준비' 기능 강화다.

삼성전자는 현 3인 대표이사 경영진 체제를 2018년 3월 이후 3년여간 이어왔다. 최근까지도 반도체 사업부문(DS) 실적 호조, 폴더블 스마트폰과 비스포크 흥행을 이끈 주역들이다.

이 때문에 재계에서는 삼성전자가 부문별 수장을 유임시키며 안정 속 성장을 추구할 것이라고 봤다. 게다가 이 부회장은 가석방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고, 삼성전자는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역대 최대 실적을 올리는 성과를 냈다.

이런 전망을 뒤집은 이번 사장단 인사는 '뉴 삼성'을 향한 이 부회장의 강한 의지의 표명으로 읽힌다.

이재용 부회장이 지난달 말 미국 출장 귀국길에서 “시장의 냉혹한 현실을 직접 보고 오게 되니 마음이 무겁다”라며 위기론을 꺼내 든 이후 전격적인 조직 쇄신에 나선 것이다.

이 부회장은 미국 출장길에 반도체와 세트 연구소인 DS미주총괄(DSA)과 삼성리서치아메리카(SRA)에 들러 "미래 세상과 산업의 지도가 새롭게 그려지면서 우리의 생존 환경이 극적으로 바뀌고 있다. 추격이나 뒤따라오는 기업과의 '격차 벌리기'만으로는 이 거대한 전환기를 헤쳐나갈 수 없다"고 삼성을 둘러싼 환경을 진단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대표이사 교체를 통해 세대 교체에 나서고, 회사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을 회장·부회장·사장으로 승진시키며 성과주의 인사를 실현했다.

먼저 김기남 DS부문장(부회장)을 회장으로 승진시켜, 종합기술원을 이끌며 미래기술 개발과 후진 양성에 전력을 기울이도록 했다.

'최첨단 기술혁신의 인큐베이터'로 불리는 종합기술원은 AI(인공지능), 차세대 컴퓨팅 플랫폼, 첨단 소프트웨어 등 미래기술을 연구하는 '브레인' 역할을 맡고 있다. 김 회장은 이곳에서 미래혁신 기술 개발을 총괄 지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종희 신임 부회장은 세트(CE/IM) 사업 전체를 이끌며 전사 차원의 신사업∙신기술 등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는 역할을 맡았다. 삼성전자의 '15년 연속 글로벌TV 시장 1위 수성' 주역을 맡았던 한 부회장의 검증된 역량을 토대로 IM과 CE 사업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애초 재계에서는 삼성의 '컨트롤타워 부활' 등 여러 추측이 돌았지만, 이번 인사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다. 컨트롤타워 부활의 필요성은 충분하지만, 이 부회장이 가석방 상황인 데다 합병 관련 재판을 받고 있다는 점이 부담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신 정현호 사업지원TF 팀장(사장)을 부회장으로 승진시키며 사업지원TF 역할을 강화했다. 사업지원TF는 전략, 인사 등 2개 기능을 중심으로 삼성전자 및 관계사의 공통 이슈 협의, 시너지 및 미래사업 발굴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정 부회장 승진은 사업지원 TF 역할 중 특히 미래사업 발굴을 가속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는 '뉴삼성'으로 도약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정 부회장의 승진에 대해 예상 밖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도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오히려 승진이 늦은 편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사장 승진 시점은 정현호 부회장이 2015년으로 한종희 부회장(2017년)보다 2년이 빠르지만, 부회장은 올해 동시에 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름에는 비빔면"…부동의 1위 '팔도비빔면', 2위는? [그래픽 스토리]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중국이 중국했다" 손흥민·이강인 향한 좁은 속내…합성사진 논란
  • 쿠팡 "'평생 먹은 것 중 제일 맛없다'는 직원 리뷰가 조작?" 공정위에 반박
  • “동해 석유=MB 자원외교?”...野, 의심의 눈초리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집단 휴진 거부한 아동병원, 의협 회장 맹비난 "'폐렴끼' 만든 사람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994,000
    • -0.66%
    • 이더리움
    • 4,942,000
    • +0.55%
    • 비트코인 캐시
    • 595,500
    • -2.78%
    • 리플
    • 674
    • -0.3%
    • 솔라나
    • 203,500
    • -1.88%
    • 에이다
    • 581
    • -2.52%
    • 이오스
    • 922
    • -3.35%
    • 트론
    • 165
    • -0.6%
    • 스텔라루멘
    • 137
    • -1.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9,800
    • -2.85%
    • 체인링크
    • 20,920
    • -3.37%
    • 샌드박스
    • 538
    • -3.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