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 주택투기 수요 급증…임대목적 구매 1년 새 8.3%p 늘어

입력 2021-09-30 09: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서울시 연령대별 입주계획 현황 (자료제공=진성준 의원실)
▲올해 서울시 연령대별 입주계획 현황 (자료제공=진성준 의원실)

정부의 다주택자 중과 조치 등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올해 서울 주택투기 수요가 여전히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서울시 주택 입주계획서'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의 임대목적 구매가 2019년 평균 39.2%, 2020년 38.0%에서 올해 46.3%로 치솟았다. 그만큼 집값 상승을 노린 투기매매 수요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자금 여력이 없는 10대 이하의 임대 목적 주택구매 건수와 비율은 2019년 29건(90.60%), 2020년 78건(97.50%)에서 올해는 8월까지 145건(98.6%)으로 급증했다. 20대 역시 임대 목적 주택구매 건수와 비율은 2019년 1941건(64.30%), 2020년 3301건(62.20%)에서 올해 4306건(73.30%)을 기록했다.

진 의원은 "올해 서울 부동산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자금 여력이 없는 10대 이하 98.6%, 20대 73.3%가 임대를 목적으로 주택을 구매하고 그 건수도 많이 늘어난 것은 부모 찬스를 활용한 부동산 투기가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지역별로는 지난해 용산구(56.6%), 서초구(50.2%), 송파구(45.1%), 마포구(45.1%) 순으로 임대 목적 구매 비율이 높았다. 올해는 양천구(57.9%), 용산구(56.0%), 영등포구(53.8%), 강서구(53.4%) 순으로 임대 목적 구매 비율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진 의원은 "올해 들어 서울에서 전통적으로 집값이 높았던 강남3구, 용산구, 마포구 등이 아닌 양천구, 용산구, 영등포구, 강서구 등의 임대 목적 구매가 높아진 것은 집값 상승을 노리는 투기 구매가 서울 전역으로 확산하는 현상을 보여준 것"이라며 "서울에 주택 10채가 공급돼도 갭투자자와 다주택자에게 4.6채 이상 돌아가는 상황에서 집값 안정은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 집값 안정을 위해서는 강력한 실거주자 우선 주택 공급과 함께 부동산감독기구 출범으로 투기 수요를 차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중국이 중국했다" 손흥민·이강인 향한 좁은 속내…합성사진 논란
  • "올여름 폭염·폭우 지속될 것…미리 대비해야"
  • 지하철서 잠든 이준석 사진 확산…출퇴근 목격담도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뇌전증 전문 교수들, 집단휴진 불참…“환자 위기 빠트리는 행동 삼가야”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11:4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52,000
    • -0.95%
    • 이더리움
    • 4,952,000
    • -0.12%
    • 비트코인 캐시
    • 615,000
    • -3.07%
    • 리플
    • 678
    • -1.45%
    • 솔라나
    • 209,500
    • -2.56%
    • 에이다
    • 600
    • -1.8%
    • 이오스
    • 956
    • -2.35%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40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100
    • -2.1%
    • 체인링크
    • 21,700
    • -1.41%
    • 샌드박스
    • 560
    • -1.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