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투자증권 “석탄발전소, 원가 상승으로 좌초자산 가능성 커졌다”

입력 2021-03-31 08: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전력 석탄 자산(기계ㆍ구축물)은 20조 원으로 추정”

(자료 = 유진투자증권)
(자료 = 유진투자증권)

탈석탄 전환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2021년 3차 배출권거래제 시행, 6월 석탄 총량제, 하반기 탄소세 제도가 마련되면서다. 증권가는 탄소세 부과까지 더해진다면 석탄발전소는 원가가 뛰면서 좌초자산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전력의 발전자회사(GENCO)가 올 1분기에 이어 4~11월에도 석탄발전소 상한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황성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발전사들은 기존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 노후석탄발전소를 가동 중단하고 전력시장 예비력 범위 내에서 출력 상한을 80%로 제한한 바 있다”며 “이번 결정으로 석탄발전소는 연중 직접 제약을 받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특히 석탄발전소가 좌초자산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국내 석탄발전소의 가동률이 구조적으로 떨어진 데다 원가 부담도 커진다는 분석이다. 좌초자산은 시장이나 사회의 환경 변화로 그 가치가 급격히 떨어져 부채로 전환되는 자산을 의미한다.

황 연구원은 “최근 발의된 탄소세 법안을 참고하면, 2030년까지 톤당 약 8만 원의 탄소세가 부과될 전망”이라며 “석탄에서 배출되는 탄소량을 고려하면 석탄 가격은 톤당 90달러에서 320달러로 오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규제 강화(석탄 총량제, 탄소세 부과)로 좌초좌산이 될 가능성이 있는 한국전력의 석탄 자산(기계, 구축물)은 20조 원으로 추정한다”며 “이는 연결 기준 전체 자산의 10%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재생에너지 전환 속도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그는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석탄발전소의 발전단가가 재생에너지와 LNG 발전소 수준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이라며 “기업들 사이 에너지 전환, RE100 선언도 확대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3:3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90,000
    • -0.37%
    • 이더리움
    • 5,258,000
    • -1.72%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0.84%
    • 리플
    • 730
    • +0%
    • 솔라나
    • 235,900
    • -0.46%
    • 에이다
    • 630
    • -1.56%
    • 이오스
    • 1,130
    • +0.09%
    • 트론
    • 154
    • +0%
    • 스텔라루멘
    • 149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950
    • -0.46%
    • 체인링크
    • 25,930
    • +1.89%
    • 샌드박스
    • 623
    • -1.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