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급락에 인도는 ‘웃음’...왜?

입력 2020-03-12 16: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도, 2018~2019년 석유 소비의 80% 수입

▲WTI 과거 하루 변동폭. 출처 CNBC
▲WTI 과거 하루 변동폭. 출처 CNBC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의 감산 합의 실패로 국제유가가 폭락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패닉에 빠진 가운데 유가 급락으로 인도가 최대 수혜국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1일(현지시간) CNBC방송에 따르면 사우디와 러시아의 합의 불발로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러시아 등 비회원국으로 구성된 OPEC플러스(+)의 감산 합의가 3월 말 종료된다. 그 사이 합의가 성사되지 않는 이상, 4월 1일부터 OPEC플러스 국가들은 원하는 만큼 석유 생산을 늘릴 수 있다. 사우디는 4월부터 하루 1000만 배럴 이상의 증산을 예고했다. 러시아도 일일 생산량에 제한을 두지 않겠다며 맞불을 놨다.

산유국의 유가 전쟁에 불이 붙으면서 글로벌 시장은 벌집을 쑤셔 놓은 듯 요동쳤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유가 급락으로 수혜를 보는 곳으로 인도를 지목했다. 라지브 비스와스 IHS 아시아태평양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인도가 글로벌 저유가의 최대 수혜자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2018~2019년 인도는 전체 석유 소비의 80% 이상을 수입했다. 유가 하락은 인도의 인플레이션 및 수입 물가를 낮추고 이는 무역 및 경상수지 적자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4~12월 인도가 수입한 석유 규모는 956억9000만 달러(약 115조3000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했다. 유가가 배럴당 50달러 이상으로 유지돼서다.

다르멘드라 프라단 인도 석유부 장관은 지난달 “유가가 배럴당 50~60달러 선에서 유지되면 좋겠다”고 말한 바 있다. 유가가 배럴당 1달러 하락할 때마다 인도는 15억 달러를 절감할 수 있다고 CNBC는 추산했다.

라디카 라오 싱가포르 DB그룹 이코노미스트는 “유가 하락의 장기화는 소비자의 실질 구매력 증가로 이어진다”면서 “비석유 사업에 대한 마진 압력이 감소하면 수요 둔화도 개선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득 전망에 대한 자신감 개선이 동반된다면 인도 경제 성장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도 경제는 최근 성장 둔화로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4.7% 성장에 그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내부통제 태풍]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날씨] '낮 최고 35도' 서울 찜통더위 이어져…제주는 시간당 30㎜ 장대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10:2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908,000
    • -0.32%
    • 이더리움
    • 5,031,000
    • +0.82%
    • 비트코인 캐시
    • 556,000
    • -0.18%
    • 리플
    • 699
    • +0%
    • 솔라나
    • 191,600
    • -2.49%
    • 에이다
    • 548
    • +0.37%
    • 이오스
    • 810
    • +2.14%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3
    • +1.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200
    • +1.28%
    • 체인링크
    • 20,380
    • +1.95%
    • 샌드박스
    • 465
    • +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