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연준 긴축 기조에 또 볼멘소리

입력 2018-10-10 08: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준, 물가 상승 압력도 없는데 기준금리 너무 빨리 올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워싱턴/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워싱턴/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또다시 비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제롬 파월 연준 의장과 통화정책에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내 좌절감을 이야기하지 않겠다”면서도 “연준은 물가 상승 압력도 없는데 기준금리를 너무 빨리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너무 빨리 가면 안 된다. 금리를 빨리 올릴 필요가 없다”며 “경기가 둔화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도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의 긴축을 비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달 연준이 금리를 올해 들어 세 번째로 올렸을 때도 언짢은 티를 내며 긴축 기조를 노골적으로 비판했다.

연준은 지난달 27일 금리를 2.00~2.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연준은 연말까지 금리 인상을 한 차례 더 예고했으며 내년에는 3차례 정도의 인상을 계획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이 금리 인상에 반대하는 것은 달러화의 강세 기조가 이어지면서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고 경제 성장도 둔화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경기가 회복되고 있는 상황에서 낮은 금리를 오래 유지하게 되면 연쇄적인 인플레이션을 초래하게 되지만 아직은 그런 걱정을 할 단계가 아니라는 게 트럼프의 판단이다.

여기에는 금리 인상이 다가오는 11월 중간선거, 더 나아가 자신의 재선 가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계산이 다분히 깔렸다.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의 케빈 하셋 위원장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 수립 자유에 대한 침해로 해석하는 것은 과도한 것”이라며 “대통령은 자신이 생각하는 것을 말하는 것일 뿐, 연준의 독립성을 존중한다”고 해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동해 석유=MB 자원외교?”...野, 의심의 눈초리
  • 미끄러진 비트코인, 금리 인하 축소 실망감에 6만6000달러로 하락 [Bit코인]
  • 명승부 열전 '엘롯라시코'…롯데, 윌커슨 앞세워 5연속 위닝시리즈 도전 [프로야구 16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943,000
    • +0.26%
    • 이더리움
    • 5,027,000
    • +0.56%
    • 비트코인 캐시
    • 610,500
    • +1.33%
    • 리플
    • 700
    • +3.09%
    • 솔라나
    • 204,600
    • +0.69%
    • 에이다
    • 585
    • +0.52%
    • 이오스
    • 932
    • +0.87%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9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9,900
    • -0.92%
    • 체인링크
    • 21,000
    • -0.8%
    • 샌드박스
    • 541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