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대 남성 4명 중 1명은 '전립선 비대증' 환자

입력 2018-07-12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체 진료인원 92.1%가 50대 이상…심하면 생명 유지에 영향 줄 수도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70대 이상 남성 4명 중 1명은 전립선 비대증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전립선 비대증으로 진료받은 인원은 119만5229명으로 전년(113만4485명) 대비 6만774명(5.4%)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70대 이상이 49만7466명(41.6%)으로 가장 많았고, 60대(37만1227명, 31.1%), 50대(23만2217명, 19.4%)가 뒤를 이었다.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인원의 92.1%를 차지했다. 20대의 경우에는 지난해 진료인원이 2213명에 불과했으나, 전년 대비로는 가장 높은 증가율(12.6%)을 보였다.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보면 70대 이상은 2만6682명에 달했다. 4명 중 1명은 전립선 환자라는 의미다. 60대는 1만3919명, 50대는 5562명이었다.

이석영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전립선 비대증은 40대 이후에 서서히 발병하기 시작하는데, 초기에는 그 불편함이 크지 않다가 나이를 먹으며 전립선이 점점 더 커지는 반면 방광기능은 점점 감퇴하게 돼 배뇨증상이 악화하게 된다”며 “병원에 가야겠다는 불편감을 느끼는 시기가 대략 50대 후반이나 60대 정도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전립선 비대증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 여러 배뇨증상이 생기게 돼 삶의 질이 저하하고, 질환이 신장기능 저하에 따른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방광 혹은 신장 내 여러 결석질환을 유발하기도 하며 지속적인 방광 내 잔뇨로 요로감염, 심할 경우 요로패혈증 등으로 생명 유지에도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전립선 비대증으로 인한 진료비는 2012년 3100억 원에서 2017년 4485억 원으로 연평균 7.7%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 진료비는 229억 원에서 2017년 331억 원으로, 외래 진료비는 2871억 원에서 4,54억 원으로 각각 증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이연희, 결혼 4년만에 엄마 된다…"9월 출산 예정, 새 생명 축복해 달라"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하늘의 도깨비' F-4 팬텀 퇴역…55년 우리 영공 지키고 역사 속으로
  • 삼성전자 노조, 오늘 연차 파업…"생산 차질 없을 듯"
  • 손흥민, 토트넘 떠나 페네르바체행?…레비 회장 "새빨간 거짓말"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14:3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750,000
    • +0.57%
    • 이더리움
    • 5,291,000
    • -0.86%
    • 비트코인 캐시
    • 717,000
    • +4.06%
    • 리플
    • 727
    • -0.27%
    • 솔라나
    • 238,000
    • -0.42%
    • 에이다
    • 640
    • +0.63%
    • 이오스
    • 1,104
    • +0.36%
    • 트론
    • 157
    • -0.63%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9,750
    • +2.34%
    • 체인링크
    • 24,240
    • +0.58%
    • 샌드박스
    • 656
    • +1.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