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MB정부때 자산만 40조→84조 ‘수상한 성장’… “각별한 비호 있었다” 특혜설 무성

입력 2016-06-12 12: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08~2012년 M&A 26건ㆍ123층 건축허가 승승장구…롯데 "억울… 투자일뿐"

▲(왼쪽부터)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왼쪽부터)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롯데그룹에 전방위적인 사정 칼바람이 불어닥쳤다. 비자금 조성과 인허가 과정 비리 등의 혐의로 사정당국으로부터 강도높은 수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이명박 전 대통령 등 전 정권에 대한 비리수사로 이어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명박 정권 시절 최대 수혜기업으로 손꼽히는 롯데는 박근혜 정권이 들어서면서 사정의 타깃이 될 것으로 관측됐지만, 갖은 특혜 의혹과 비리 논란에도 사정 칼바람은 불지 않았다. 재계에서는 늦은감이 있지만 이미 예견된 일로 '올 게 왔다'라는 반응이다. '기업 프렌들리'를 내세웠던 이명박 정권에서 가장 큰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을 받는 기업이 다름 아닌 롯데그룹이기 때문이다.

재계 5위의 롯데그룹이 그룹차원에서 고강도 수사를 받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재계와 정치권 등에서는 이명박 전 대통령 재임 시절 제기됐던 '롯데 특혜설'이 다시 거론되고 있다. 특혜설의 요지는 이명박 정부 시절 롯데그룹의 자산이 2배 넘게 성장했으며, 이와 관련 당시 정부의 각별한 비호가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다.

◇자산 2배 껑충, 신동빈의 M&A 광폭 행보 '뒷말 무성'… 국내서만 17건= 이명박 대통령 집권 전 40조원에 불과하던 롯데그룹 자산 총액은 5년 만에 84조원으로 2배 이상 늘었다. 46곳이던 계열사도 79곳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롯데그룹의 성장에는 MB정부의 각종 특혜가 있었다는 뒷말이 무성한 상황이다.

12일 롯데그룹의 '인수합병(M&A) 현황' 자료에 따르면 신동빈 롯데 회장이 롯데정책본부장으로 취임한 2004년 이후 2015년 5월까지 성공한 주요 M&A 건은 모두 35건이다.

이 가운데 이명박 대통령(2008년 2월~2013년 2월) 재임 기간에 성사된 M&A만 따져도 26건에 이른다. 이 가운데 17건이 모두 국내 업체를 사들인 사례다.

이 기간 롯데의 대표적 국내 M&A 성공 사례는 △롯데칠성음료-두산주류BG(현 롯데주류·5030억원) △롯데면세점-AK면세점(부채 포함 800억원) △롯데쇼핑-GS리테일 백화점·마트 부문(1조3000억원) △롯데쇼핑-하이마트(1조2480억원) 등이다.

롯데그룹은 당시 손해보험과 맥주시장 진출 당시에 특혜시비가 불거졌고, AK글로벌을 인수해 면세점 시잠 점유율이 50%가 넘어 독과점 논란이 일기도 했지만, 조용히 넘어갔다.

그러나 롯데그룹은 이런 특혜설에 대해 "사실무근으로,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신동빈 회장이 거듭 "불황일수록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야한다"고 강조하며 공격적으로 사업 영역을 넓힌 것일 뿐, 정치권의 배려를 받은 사실이 없다는 입장이다.

▲롯데그룹 창업주 신격호 총괄회장의 '숙원' 롯데월드타워 전경.(사진제공=롯데그룹)
▲롯데그룹 창업주 신격호 총괄회장의 '숙원' 롯데월드타워 전경.(사진제공=롯데그룹)

◇MB의 비호 없이는 불가능했던 롯데월드타워… '불가' 방침 2년만에 '허가'로= 이명박 대통령의 취임 두 달 만인 2008년 4월. 이명박 대통령은 "날짜를 정해놓고 제2롯데월드 문제를 해결하도록 검토하라"며 국방장관을 강하게 질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1년 만에 제2롯데월드는 정부의 승인을 받았고, 롯데그룹 창업주 신격호 총괄회장의 15년 숙원사업은 해결됐다.

신 총괄회장의 '숙원'이었던 롯데월드타워의 건축허가가 인접 서울공항 비행 안전성 등의 논란에도 이명박 정권 아래 이뤄진 사실도 특혜설이 나온 주요 배경으로 꼽힌다.

특히 제2롯데월드 인허가에 반대하다가 임기를 6개월 앞두고 교체된 K모 공군참모총장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제2롯데월드는 위험 요소를 잠재적으로 안고 있으며, 악천후와 기체 결함, 조종 미숙 등으로 컨트롤이 약간만 안 돼도 국가적 재난을 초래할 수 있다"며 "그런데도 한 대기업의 편의를 봐주기 위해 국가 안보 시설에 손을 댄다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강조해 롯데와 이 전 대통령 사이 정경유착 의혹이 제기됐었다.

2007년 7월 정부는 행정협의조정위 본회의를 통해 "초고층 건물을 건립할 경우 비행안전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국방부의 의견에 따라 롯데월드타워의 건축을 허가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하지만 2008년 2월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뒤 롯데는 서울공항 비행안전 조치를 국방부와 협의해 자사 부담으로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다시 타워 건축을 추진했다.

정부는 2009년 1월 행정협의조정위 실무위원회를 열어 서울공항 동편활주로 방향을 3도(°) 변경하는 대안을 조건으로 사실상 허용 방침을 내비쳤다.

결국 같은 해 3월 국무총리실 행정조정협의회는 본회의에서 서울공항 비행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검증용역 결과를 확인하고, 정부 차원의 롯데월드타워 건축 허가를 확정했다. 하지만 성남시는 정부가 555m높이의 타워 건축은 허용하면서 성남시의 고도제한을 풀지 않은 데 대해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더구나 용적률건폐율 상향 조정으로 롯데월드타워의 높이가 당초 115층에서 123층으로 변경되면서, 당시 국정감사 등에서 '재벌 특혜' 주장이 나왔다.

롯데 관계자는 "정부와 송파구 등을 대상으로 관광자원으로서의 타워의 필요성 등을 끊임없이 설득하고 안전에 전혀 지장이 없도록 모든 비용을 부담해 공항활주로 각도를 바꾸는 등 노력한 결과"라며 "위법한 행위는 전혀 없었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음반 밀어내기 권유 사실…하이브에 화해 제안했다"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100,000
    • -1.15%
    • 이더리움
    • 5,256,000
    • +0%
    • 비트코인 캐시
    • 637,500
    • -2.15%
    • 리플
    • 723
    • -0.69%
    • 솔라나
    • 232,100
    • -1.36%
    • 에이다
    • 626
    • +0%
    • 이오스
    • 1,126
    • -0.35%
    • 트론
    • 157
    • +0.64%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400
    • -2.51%
    • 체인링크
    • 24,780
    • -1.94%
    • 샌드박스
    • 604
    • -2.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