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20% 임금삭감…1개월 무급휴가 등 추가 자구안 마련

입력 2016-05-31 17: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업계 최대 총 3조 이상 자구안 마련…내달 1일 산업은행 제철 예정

대우조선해양이 경영 정상화 차원에서 일반 직원들의 급여를 삭감하고 하반기부터 한달간 무급휴가 시행을 검토한다. 또 서울 본사를 경남 거제의 옥포조선소로 옮기고, 조선 분야 자회사들의 매각까지도 적극적으로 검토한다.

31일 금융권과 조선업계 등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제출하는 추가 자구안 규모가 업계 최대인 3조원대로 추산되고 있다. 지난해 채권단의 4조원대 지원이 결정될 당시 1조8500억원 수준의 자구안을 제출한 것에 더해 최근에 1조5000억원가량의 추가 자구안을 건넸다. 대우조선 측은 이르면 내달 1일 산업은행에 최종 자구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추가 자구안에는 임원뿐 아니라 생산·사무직 직원의 급여를 동종 업계 추세에 맞춰 10∼20% 삭감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대우조선은 경영난이 심각해진 지난해 8월 이후 본사 임원을 55명에서 41명으로 30% 줄이고 임원들 임금에서 기본급의 10~20%씩을 반납토록 했지만 직원 임금에 손을 대지는 않았다.

임금 삭감은 현대중공업과 같이 휴일근무와 고정 연장근로 수당 등을 폐지하거나 상여금 등을 줄이는 방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하반기부터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한 달간의 무급휴가를 시행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아울러 대우조선은 자구안에 2019년까지 인력 2천300여명을 추가로 감축해 전체 인원을 1만명 수준으로 줄이기로 한 일정을 앞당기겠다는 계획을 담은 것으로 전해졌다.

대우조선은 이와 함께 본사를 서울에서 옥포조선소가 있는 경남 거제로 이전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정성립 대우조선 사장은 최근 차장급 중간간부와 함께 한 사내 간담회에서 "향후 회사를 옥포조선소 중심 체제로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우조선은 지난 20일 제출한 자구안에서 비핵심 자산 가운데 2006년 중국에 설립한 블록 공장인 '대우조선해양산둥유한공사(DSSC)'를 매각하는 방안을 포함시켰다.

또 잠수함 등을 건조하는 방산 부문 특수선 사업부를 자회사로 전환한 뒤 상장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는 방안도 자구계획에 담은 것으로 전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북 영덕서 산불 현장 투입 후 귀가하던 산불감시원 사망
  • 서울대 의대생들 ‘1학기 등록’ 66% 찬성…‘단일대오’ 균열 커지나
  • “탄핵 선고기일 지정해라” 현대차·한국지엠 노조 또 ‘정치파업’
  • 계열·협력·합작사 미 동반 진출…여의도 4배 면적에 ‘미래차 클러스터’ 형성 [베일벗은 HMGMA]
  • “발톱무좀 치료 240만 원”…과잉진료 의심병원 가보니 [8조 원의 행방 中]
  • 트럼프 “4월 2일 상호관세, 모든 국가에 부과…관대해서 놀랄 것”
  • 故 김새론 유족 측 김수현과의 카톡 메시지 공개…"17살 때 일"
  • [르포]LPG회사가 전력회사가 된 이유…수소시대 마중물 울산GPS
  • 오늘의 상승종목

  • 03.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947,000
    • -0.37%
    • 이더리움
    • 2,989,000
    • -1.87%
    • 비트코인 캐시
    • 496,700
    • +0.57%
    • 리플
    • 3,489
    • -3.59%
    • 솔라나
    • 204,700
    • -3.72%
    • 에이다
    • 1,091
    • -1.71%
    • 이오스
    • 860
    • +0.58%
    • 트론
    • 342
    • +1.48%
    • 스텔라루멘
    • 430
    • -2.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750
    • -0.19%
    • 체인링크
    • 23,080
    • -0.52%
    • 샌드박스
    • 464
    • +0.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