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가스로 원예 시설용 전기 생산·CO2 관리

입력 2016-05-30 11: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결실 맺는 ‘스마트팜 기술’ 개발

정부와 산하기관들이 스마트팜의 정책 지원부터 기술개발 등 다각적인 방향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 같은 노력으로 일부에서는 하나둘 결실을 맺고 있다.

30일 정부와 산하기관에 따르면 ICT(정보통신기술) 주무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와 농업정책을 총괄하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손잡고 스마트팜 확산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동안 미래부와 농식품부는 스마트팜 확산을 위해 스마트 농업 생산, 유통, 재해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총 11개 과제를 추진해 왔다.

주요 추진 성과를 살펴보면, 농업 생산 분야에서는 가스 연료를 사용해 시설원예에 필요한 열, 전기,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생산·관리하는 기술을 최초로 국산화시켰다. 미래부 지원으로 개발된 원천기술은 농진청의 농가 실증사업을 거쳐 사업화가 추진되고, 경제성 분석 등을 통해 농식품부의 정책지원사업과 연계해 농가에 확산 보급될 전망이다.

농업 유통비용 절감을 위해 산지출하조직과 소비자 소상공인을 연결하는 온라인 거래서비스와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농산물 현물 없이 영상자료를 기반으로 거래할 수 있는 이미지경매서비스도 개발했다. 천안 도매시장과 구리 도매시장에 시범 운영해 향후 타 도매시장으로 확산시킨다는 구상이다.

농업재해로 인한 피해를 신속, 정확히 산정하는 기술도 개발됐다. 스마트폰 촬영영상으로 과수(사과·배) 피해 규모를, 드론 영상으로 벼와 농업기반시설(수로·저수지) 피해규모 및 복구비용을 신속히 산출할 수 있다. 이 중 실용화가 가능한 기술은 농업재해보험사와 지자체에 이전되어 활용될 예정이다.

지난달 농림축산식품부는 주산지 선도농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팜의 보급 속도를 한층 높여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스마트 팜 확산 가속화 대책’을 마련했다. 이번 대책은 스마트팜 보급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장 애로 사항을 발굴해 해소하고 운영상의 성과를 제고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최재유 미래부 2차관과 여인홍 농식품부 차관은 “ICT 융합기반의 스마트 농업이 바로 우리 농업의 미래”라는 점에 의견을 모으고 “스마트 농업 확산을 위해 앞으로도 두 부처가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동해 석유=MB 자원외교?”...野, 의심의 눈초리
  • 미끄러진 비트코인, 금리 인하 축소 실망감에 6만6000달러로 하락 [Bit코인]
  • 명승부 열전 '엘롯라시코'…롯데, 윌커슨 앞세워 5연속 위닝시리즈 도전 [프로야구 16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54,000
    • +0.8%
    • 이더리움
    • 5,104,000
    • +1.33%
    • 비트코인 캐시
    • 614,500
    • +1.32%
    • 리플
    • 695
    • +1.61%
    • 솔라나
    • 207,400
    • +1.32%
    • 에이다
    • 590
    • +1.2%
    • 이오스
    • 939
    • +0.86%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40
    • +1.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70,350
    • -0.28%
    • 체인링크
    • 21,370
    • +1.23%
    • 샌드박스
    • 546
    • +0.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