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증시]소비부진 우려에 '급락'...다우·나스닥 1%↓

입력 2007-05-11 08: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주요지수가 일제히 급락했다. 다우산업평균은 150 가까이 급락하며 1만3200선으로 떨어졌고, 나스닥지수도 1%이상 하락했다.

주요 소매업체들의 4월매출과 경제지표 부진에 차익실현 심리가 부각됐다. 3월 무역적자 폭도 예상보다 확대됐다.

10일(현지시간) 다우산업평균은 전일보다 147.74(1.11%) 떨어진 1만3215.13을 기록했고, 나스닥지수는 2533.74로 42.60포인트(1.65%) 하락했다. S&P500지수는 1491.47로 21.11포인트(1.40%) 내렸고,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도 498.90으로 10.71포인트(2.10%) 하락했다.

미국의 3월 무역적자 규모가 예상보다 크게 확대됐고, 수입물가는 예상보다 큰 폭으로 오르며 인플레이션 우려를 가져왔다.

미국 상무부는 3월 무역적자가 전월보다 10.4% 증가한 639억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하며, 시장예상치 600억달러를 웃돌았다. 4월 수입물가는 전월보다 1.3% 오르며 시장 예상치인 1.0%를 상회했다.

반면 지난주 신규실업수당 청구자수는 전주보다 9000명 감소한 29만7000명을 기록하며 호전됐다.

이날 발표된 ICSC연쇄점 판매액이 전년대비 2.4% 급감하며 미국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소비 부진 우려로 작용했다. 또한 미 주요 유통, 소매 업체들의 4월 매출이 대부분 시장 예상치를 밑돌며 소비부진 우려를 부채질했다.

주요 유통업체인 월마트, 타깃의 4월 매출이 전년대비 각각 4.6%, 6.1% 감소했고, 세계 최대 의류업체인 갭은 매출이 16% 나 급갑했다.

이외에 백화점, 소매업체인 페더레이티드 디파트먼트, JC페니 등의 4월 매출도 기대치를 밑돌았다.

이날은 M&A 기대감으로 강세를 보였던 원자재 관련주도 약세로 반전했다. 알코아의 주가는 2.84% 떨어졌고, 듀퐁과 캐터필라 역시 각각 1.94%, 1.26% 하락했다. 전일 급등했던 세계 3위 광산업체인 리오틴토는 5.15% 급락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된 서부텍사스산중질원유(WTI) 6월 인도분은 전일보다 0.26달러 오른 61.81달러를 기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즉생' 발언 후 첫 주총 삼성전자, 고강도 쇄신 나선다
  • 후폭풍 '미미'→재지정…열흘 만에 180도 바뀐 서울시…"시장 혼란만 증폭"[3·19 안정화 방안]
  • 리얼 허거덩거덩스·햄부기햄북…성인 80% "신조어로 세대 간 소통 불편" [데이터클립]
  • "약속을 잘 지키는 생선이 있다"…'조기'를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김수현 소속사 반박에…김새론 측 "미성년 시절 입증 사진 포렌식"
  • "3년도 안 돼 문 닫는다"…빚만 1억, 소상공인 '눈물의 폐업'
  • “선예매도 ‘등급’이 있어요” 프로야구 티켓 논란…최상위는 암표? [해시태그]
  • "사직서 내러 뛰어가나?"…'언슬전', 싸늘한 안방극장 시선 돌릴까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3.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621,000
    • +1.06%
    • 이더리움
    • 2,952,000
    • +6%
    • 비트코인 캐시
    • 496,700
    • +0%
    • 리플
    • 3,410
    • +2.53%
    • 솔라나
    • 187,600
    • +3.36%
    • 에이다
    • 1,053
    • +2.13%
    • 이오스
    • 844
    • +17.06%
    • 트론
    • 338
    • +2.74%
    • 스텔라루멘
    • 416
    • +5.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200
    • +3.85%
    • 체인링크
    • 21,120
    • +4.61%
    • 샌드박스
    • 427
    • +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