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기자의 그런데] “아들아! 병무청서 통지서 왔다. 헬조선에서 금수저 못 물려줘 미안하다”

입력 2015-11-02 17: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KBS뉴스)
(출처=KBS뉴스)

정부가 내년부터 현역병 입영 정원을 2만명 늘리기로 했습니다. 군인을 더 뽑겠다는 얘기죠. 입대 적체 현상을 해소하기 위함인데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 부모로부터 태어난 1991~1995년생 남자가 다른 해 출생자보다 많았기 때문이죠. 지난해 20세 남자가 38만명에 달했다고 하네요. 역대 최대입니다.

단순히 대상이 늘었다고 정원을 확대하는 건 아닙니다. 입영을 희망하는 사람이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최근 병무청에는 ‘제발 군대 좀 보내 달라’는 민원이 한 달에 3만건씩 접수된다고 합니다. “통지서 안 보내면 병무청을 폭파하겠다”란 협박부터 “학력에 관한 입영기준을 바꿔 달라”는 읍소까지 다양합니다. 병무청은 이 같은 입영 희망자가 2만 5000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합니다.

이 글을 읽으면서 ‘군대가 언제부터 가고 싶은 곳이었지’란 생각에 갸우뚱하실 겁니다. 병역의무를 회피하기 위해 온몸에 문신을 새기고, 멀쩡한 어깨를 탈골 시키고, ‘귀신이 보인다’며 미친 척 하는 뉴스가 아직은 더 와 닿습니다.

우리 청년들이 갑자기 변한 이유가 뭘까요. 버티기 힘들어서입니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청년들의 체감 실업률은 22.4%에 달한다고 합니다. 정부가 발표한 데이터(9.7%)보다 2배 이상 높습니다. 졸업은 다가오고, 나이는 먹어 가는데, 일자리는 점점 더 구하기 어려워지니 ‘일단 군대부터 가고 보자’란 생각을 하는 겁니다.

사실 우리 청년들, 아직은 군대가 무섭습니다. 군대를 검색어로 치면 ‘면제조건’, ‘3급 공익’이 연관 검색어로 뜨죠. 이 때문에 돈 있고, 빽 있는 일부 ‘금수저’들은 군대 안 갑니다. 새정치민주연합 안규백 의원에 따르면 행정부와 사법부의 현직 고위 공직자 아들 가운데 대한민국 국적을 버리고 외국 국적을 얻어 병역 의무에서 벗어난 사람이 18명에 달한다고 하네요.

(출처=현대경제연구원)
(출처=현대경제연구원)

병역은 국민의 의무입니다. 싫다고 피할 수 있는 일이 아니죠. 그러나 젊은이들이 취업 대피소로 어쩔 수 없이 군대를 택한 거라면 얘기는 달라집니다. 아니, 달라져야 합니다. 흙수저는 가야 하고 금수저는 안 갈 수 있는 상황이라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군대 가는 청년들이 많아졌다는 뉴스에 흐뭇하셨나요? ‘군대에 가야 철들지’라고 생각하셨죠. 젊은이들이 흘리는 눈물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동해 석유=MB 자원외교?”...野, 의심의 눈초리
  • 미끄러진 비트코인, 금리 인하 축소 실망감에 6만6000달러로 하락 [Bit코인]
  • 명승부 열전 '엘롯라시코'…롯데, 윌커슨 앞세워 5연속 위닝시리즈 도전 [프로야구 16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800,000
    • +0.01%
    • 이더리움
    • 5,032,000
    • +0.4%
    • 비트코인 캐시
    • 609,000
    • +0.83%
    • 리플
    • 693
    • +2.06%
    • 솔라나
    • 204,100
    • -0.1%
    • 에이다
    • 584
    • +0.17%
    • 이오스
    • 933
    • +0.43%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9,700
    • -1.76%
    • 체인링크
    • 20,960
    • -1.32%
    • 샌드박스
    • 542
    • -0.3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