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세일 수준의 찔금 할인… 이름값 못하는 ‘코리아그랜드세일’

입력 2015-10-07 10: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전시행정’ 논란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가 제조업체는 참여하지 못하고 유통업체만 참여해, 기존 백화점 세일과 별반 차별성 없이 반쪽짜리 행사에 그쳤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사진은 블랙프라이데이 행사 이후 할인행사를 벌이고 있는 서울 명동 롯데백화점에 몰린 고객들.    (사진=노진환 기자 myfixer@)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가 제조업체는 참여하지 못하고 유통업체만 참여해, 기존 백화점 세일과 별반 차별성 없이 반쪽짜리 행사에 그쳤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사진은 블랙프라이데이 행사 이후 할인행사를 벌이고 있는 서울 명동 롯데백화점에 몰린 고객들. (사진=노진환 기자 myfixer@)

정부가 야심 차게 기획한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Black Friday)가 ‘내수 진작의 불쏘시개’라는 정부 평가와 달리, ‘속 빈 강정’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번 행사를 주도했던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5% 부족한 준비로 블랙프라이데이를 전시행정으로 만들었다는 논란에 시달리고 있다.

일각에선 이번 행사가 표면적으로 지갑 열기를 꺼린 소비자들이 정부가 주도한 대대적 행사에 끌려 다시 유통가를 찾았다는 점에서 소비심리가 반전되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거창한 행사 이름에 걸맞지 않게 생각보다 할인율이 크지 않고, 기존 백화점 세일과 차별성이 없다는 등 푸념의 목소리 또한 커지고 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2만6000여개 업체가 참가했지만, 정작 대형 제조사들의 참여가 부족하다 보니 할인율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가 발생했다는 점에서다. 급기야 정부는 기대와 딴판이라는 소비자 불만이 쏟아지자 업계에 오는 14일까지 남은 기간 동안 추가 할인 대책을 주문하기도 했다.

당초 재고 떨이에 나서야 했던 제조사들의 참여가 저조해 반쪽자리 행사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화한 것이다. 정부는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등 2만6000여개의 점포가 참여한다고 발표했지만, 이 중 98%가 편의점이다.

우선 명품 등 다수 패션 업체들이 참여하지 않은 것은 추동 시즌 신상품이 공개되는 상품 교체기와 이번 행사가 맞물린 탓이 크다. 때문에 다수의 패션·뷰티 브랜드들은 기존 백화점 정기세일 수준으로 동참하는 데 그쳤다.

또한 제품 기획에 수개월이 소요되는 가전 업체들도 급조된 행사에 제대로 된 할인상품을 내놓지 못했다. 가전제품의 경우 국내 유통구조가 미국과 달라 제조업체나 직영대리점이 직접 할인행사에 나설 수 없다. 마지못해 삼성전자, LG전자가 직영점, 대리점을 통해 할인 이벤트에 나섰지만, 실질적인 할인 폭은 최대 10%에 불과했다. 미국의 블랙 프라이데이처럼 40~50% 수준의 할인율은 기대하기 힘든 구조인 것이다. 결국 제조업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블랙프라이데이 행사는 떠들썩한 판매행사일 뿐, 소비자들을 구매로 끌어들이는 데 한계를 드러냈다는 지적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가격을 부풀린 후 할인율을 적용해 미끼상품 판매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정부가 대규모 할인행사로 업체별로 50~70%의 할인을 적용하고 있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제품이 가을 정기세일 수준의 할인이 이루어지고 있어 50~70%의 할인제품은 눈속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더욱이 내수 진작을 목표로 세웠던 행사지만 백화점과 대형마트, 재래시장의 분위기가 극명하게 엇갈렸다. 백화점과 면세점은 내외국인 고객이 몰리며 오랜만에 두 자릿수 매출 신장률을 보였다. 그러나 이 역시 통상적인 세일기간과 비슷한 수준이다. 반면 재래시장은 홍보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별 효과가 없었다.

한편 정부는 이번 블랙프라이데이가 소비 진작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 정례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오는 14일까지 남은 기간 동안 할인 품목과 할인 폭을 확대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탁상에서 일괄적으로 만들어진 정책이 아니라 현장의 특수성과 제조·유통업체의 구조를 충분히 이해한 보다 짜임새 있는 기획행사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업권별 특수성과 국내 유통구조에 대한 차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정부 주도의 행사는 처음부터 한계를 드러냈다”며 “현장에서 실제로 물건을 사고팔 주체들의 이해가 맞아떨어져 그 필요성이 자연스럽게 대두될 때 흥행에 성공한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김홍국의 아픈 손가락 하림산업, 6월 ‘논현동 하림타워’ 소집령 발동
  • 마운트곡스發 비트코인 14억 개 이동…매도 압력에 비트코인 ‘후퇴’
  • '최강야구' 니퍼트도 눈치 보는 김성근 감독?…"그가 화가 났다고 생각합니까?"
  • 나스닥 고공행진에도 웃지 못한 비트코인…밈코인은 게임스탑 질주에 '나 홀로 상승' [Bit코인]
  • 전세사기 특별법 공방은 예고편?…22대 국회 ‘부동산 입법’ 전망도 안갯속
  • 반도체 위기인데 사상 첫 노조 파업…삼성전자, 경영 악화 심화하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082,000
    • -0.97%
    • 이더리움
    • 5,280,000
    • -2.31%
    • 비트코인 캐시
    • 651,000
    • -1.06%
    • 리플
    • 734
    • -0.14%
    • 솔라나
    • 234,200
    • +0.04%
    • 에이다
    • 641
    • +0.31%
    • 이오스
    • 1,134
    • +0.44%
    • 트론
    • 154
    • -0.65%
    • 스텔라루멘
    • 150
    • -0.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900
    • -0.34%
    • 체인링크
    • 25,610
    • +1.19%
    • 샌드박스
    • 636
    • +1.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