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들어 ‘버블세븐’ 집값 회복

입력 2015-09-25 09: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초구 역대 최고가 추월, 나머지 지역도 최고가 대비 80% 넘어… 전국 매매가 상승률 8.55%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이후 전국 집값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버블세븐’ 지역들의 매매가가 2006년 고점 대비 80% 이상으로 오르며 뚜렷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25일 이투데이가 KB국민은행 부동산 주택가격지수를 분석한 결과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부터 지난달까지 전국 집값 상승률은 8.55%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은 5.2%나 올랐다. 25개 구 가운데 용산구를 제외한 24개 구가 상승세를 보였고 가장 많이 오른 서초구는 10.7%의 급등세를 보였다.

강남구와 성북구, 양천구, 송파구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도 5∼7%의 상승률을 보였다.

유일하게 용산구만이 3.7% 하락했다.

지방 역시 상승세가 무섭다. 대구광역시는 현 정부 들어 40% 급등세를 보였고, 경상북도도 28%나 올랐다. 광주광역시도 23% 상승했고 울산, 충북 등도 10% 이상 오르며 집값 상승을 이끌었다. 다만 전남과 전북은 각각 1.9%, 0.3% 뒷걸음쳤다.

집값 상승의 대명사인 ‘버블세븐’으로 불리는 서울 강남ㆍ서초ㆍ송파와 양천구 목동, 경기 분당ㆍ평촌ㆍ용인의 회복세도 가파른 상태다. 서울 서초구는 이미 2006년 당시 고점을 넘어섰고 나머지 지역들도 고점 대비 80%를 넘어서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전국이 상승세를 띠는 것은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 정책 때문으로 풀이된다. 현 정부는 취임 직후부터 최근까지 10여 차례에 걸쳐 부동산 부양책을 내놓은 바 있다. 재건축 연한 단축, DTI와 LTV 등 금융규제를 완화하면서 부동산 가격 상승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금리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며 전세난이 심화한 것 역시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집값 상승률이 높은 지역들은 전세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북구의 경우 소형아파트의 평균 전세가율은 90%를 웃돌고 일부 단지에서는 전세가가 매매가를 넘어서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서울에서 유일하게 가격이 떨어진 용산구도 하락세라기보다는 통합개발이 발표된 후 급등했던 집값이 개발 무산 후 장기간의 조정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충전 불편한 전기차…그래도 10명 중 7명 "재구매한다" [데이터클립]
  • [종합] 나스닥, 엔비디아 질주에 사상 첫 1만7000선 돌파…다우 0.55%↓
  • "'최강야구'도 이걸로 봐요"…숏폼의 인기, 영원할까? [이슈크래커]
  • 나스닥 고공행진에도 웃지 못한 비트코인…밈코인은 게임스탑 질주에 '나 홀로 상승' [Bit코인]
  • '대남전단 식별' 재난문자 발송…한밤중 대피 문의 속출
  • ‘사람약’ 히트 브랜드 반려동물약으로…‘댕루사·댕사돌’ 눈길
  • '기후동행카드' 150만장 팔렸는데..."가격 산정 근거 마련하라"
  • '8주' 만에 돌아온 KIA 이의리, 선두권 수성에 열쇠 될까 [프로야구 29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500,000
    • +0.14%
    • 이더리움
    • 5,325,000
    • -0.54%
    • 비트코인 캐시
    • 650,500
    • +0.23%
    • 리플
    • 731
    • +0.27%
    • 솔라나
    • 238,300
    • +2.76%
    • 에이다
    • 637
    • +0.47%
    • 이오스
    • 1,128
    • +0.89%
    • 트론
    • 154
    • +0%
    • 스텔라루멘
    • 150
    • -0.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100
    • +1.69%
    • 체인링크
    • 25,440
    • +0.95%
    • 샌드박스
    • 633
    • +2.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