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한은, 삼성·네이버 페이 등 각종 ‘페이 통계’ 작업 착수

입력 2015-12-08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성ㆍ네이버 등 국내외 유수 업체들이 간편결제 서비스인 이른바 ‘페이’를 두고 한판 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한국은행이 간편결제 통계 개발에 착수했다.

8일 한은과 정보ㆍ통신(IT)업계에 따르면 한은은 지난달 24일 한은 본관에 삼성카드(삼성페이)ㆍ네이버(라인페이)ㆍNHN엔터테인먼트(페이코)ㆍSK플래닛(시럽페이)ㆍ신세계아이앤씨(SSG페이)ㆍLG유플러스(페이나우)ㆍKEB하나은행(중국 알리바바의 알리페이와 제휴)ㆍ한국정보통신(KICC: 국내 최대 결제중계 사업자) 등 주요 전자금융업자와 금융기관 11곳 관계자들을 초청해 전자금융통계 간담회를 개최했다. 한은이 간편결제 통계 개발을 목적으로 업계 관계자의 의견을 듣기 위해서다.

한은 관계자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각 업체가 간편결제 관련 현황 수치를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지 청취하고 통계 공개에 대한 입장을 파악했다”며 “페이 통계 집계를 검토 중인 단계로 아직 언제 어떤 방식으로 발표할지를 논의 중이다”고 말했다.

한은은 현재 일부 간편결제 업체로부터 거래액 등의 간략한 자료를 받고 있지만, 앞으로는 전체 업체를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매출ㆍ회원 수와 등록 카드 개수 등 구체적인 내용까지 받아 통계를 내겠다는 잠정 계획을 갖고 있다. 최근 간편결제 시장이 빠르게 활성화되고, 향후엔 대세가 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지만, 국내 간편결제 시장의 구체적인 현황은커녕 전체 규모조차 모르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도 한은이 페이 통계 개발을 하는 데 긍정적이다. 간편결제 통계가 통계의 특성상 개별 기업체별로 공개되는 것이 아니어서 정보 노출에 대한 부담도 크지 않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업계 관계자는 “간편결제 사업은 계속 투자를 해야 하는데 현재로써는 서비스를 연동한 가맹점 내에서 간편결제가 어느 정도를 차지하는지 밖에 몰라 투자 판단에 애로가 있다”며 “간편결제 시장이 전체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어떤 정도의 비율이고, 어느 정도 추세로 가는지 등을 파악하기 위해 업계에서는 한은이 통계 수치를 개발해야 한다는 데 다들 찬성하고 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 단독 현대차 정연추, 성과급 퇴직금 적용 소송 추진⋯승소 시 인당 최대 1억 환급
  • "청년적금" "반값월세" "여가부 폐지"…청년 표심 어디로?
  • 절판된 책 구하고 싶다면…‘우편 복사 서비스’로 해결 [경제한줌]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리플은 왜 서클을 탐내나…올해 '신의 한 수' 될까 [블록렌즈]
  • 임신 소식 앞에 미안함부터 꺼낸 임라라, 왜 난임부부를 떠올렸을까? [해시태그]
  • 이세돌 '데블스 플랜'→왕의 귀환 '크라임씬'…두뇌 서바이벌 판도, 어떻게 더 커졌나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140,000
    • -0.33%
    • 이더리움
    • 3,511,000
    • -2.09%
    • 비트코인 캐시
    • 567,500
    • -3.07%
    • 리플
    • 3,602
    • +4.89%
    • 솔라나
    • 245,900
    • -0.08%
    • 에이다
    • 1,126
    • -3.26%
    • 이오스
    • 1,210
    • -6.78%
    • 트론
    • 376
    • -1.05%
    • 스텔라루멘
    • 438
    • -1.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550
    • -5.29%
    • 체인링크
    • 23,460
    • -3.54%
    • 샌드박스
    • 495
    • -3.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