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에스티(Dong-A ST)는 24일 항체-약물접합체(ADC) 전문 자회사 앱티스(AbTis)와 클라우딘18.2(CLDN18.2) 타깃 ADC ‘DA-3501(AT-211)’에 대해 국내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DA-3501은 위암, 췌장암 등 고형암을 주요 적응증으로 한다. 특히 앱티스의 독자적인 플랫폼 기술 앱클릭(
◇삼성에스디에스
2Q25 Preview: 주마가편
클라우드 사업부 이상 없음
긍정적으로 바뀌는 시장 환경들
바뀐 판도에 빠르게 적응해야
정호윤
한국투자
◇바이오포트
음식료계의 실리콘투
식품 및 음료 제조에서 상품 유통까지
K-소비재 해외 각광에 따라 실적 성장 지속될 전망
2025E 영업이익 yoy +23%, 2026E 영업이익
셀비온(CellBion)은 PSMA 타깃 방사성의약품치료제(RPT) ‘177Lu-DGUL(177Lu-pocuvotide)’과 미국 머크(MSD)의 PD-1 항체 ‘키트루다(Keytruda)’ 병용요법을 평가하는 국내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에 신청한 임상1상은 전이성 거세저항성전립선암(mCRPC) 환자 30명을 대상
차바이오텍 계열사 차백신연구소(CHA Vaccine Institute)는 만성 B형간염 치료백신 후보물질 ‘CVI-HBV-002’의 임상2b상 결과보고서(clinical study report, CSR)를 수령했다고 23일 밝혔다.
앞서 차백신연구소는 지난 2019년 10월 CVI-HBV-002의 국내 임상2b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한국 식품의약품안
큐리언트(Qurient)는 항암제로 개발하는 Axl/Mer/CSF1R 삼중저해재 ‘아드릭세티닙(adrixetinib, Q702)’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주관하는 2025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임상단계 지원과제로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과제선정에 따라 향후 2년간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cGvHD) 임상시험에 대한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
삼진제약이 세계 최대 바이오 산업 행사인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에서 주요 신약 파이프라인과 연구개발(R&D) 전략을 공개하며 글로벌 기술이전 및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수민 삼진제약 R&D센터장은 19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 컨벤션&엑시비션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바이오USA에서 기업 발표 세션에서 삼진제약
GC녹십자(GC Biopharma)는 지난 19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백신포럼(Global Vaccine Forum)에 참석해 회사의 mRNA 백신 개발전략을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국제백신연구소(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IVI)와 유바이오로직스(Eubiologics)가 공동으로 주관했으며,
동아ST가 연구개발(R&D) 중심 기업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하며 글로벌 항암·면역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당뇨병 치료제 ‘슈가논’ 이후 신약 부재의 한계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전략이다.
박재홍 동아ST R&D 총괄 사장은 17일(현지시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컨벤션&엑시비션 센터에서 열린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에
롯데바이오로직스(Lotte Biologics)는 오티모파마(OTTIMO Pharma)와 PD1xVEGFR2 이중항체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뉴욕에 위치한 시러큐스 바이오캠퍼스에서 PD1xVEGFR2 이중항체인 ‘얀키스토미그(Jankistomig)’의 원료의약품(DS)을 생산하게 된다.
이번
우정바이오(WOOJUNGBIO)는 국제실험동물관리평가인증협회(AAALAC International)로부터 완전 인증(Full Accreditation)을 재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재인증은 글로벌 비임상연구 표준에 부합하는 운영체계를 지속적으로 충족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성과다.
회사에 따르면 AAALAC International은 전 세계적으로 실
중추신경계(CNS) 질환 특화 신약 개발 전문기업 비보존이 14일(현지시각)부터 18일까지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리는 ‘약물의존장애학회(CPDD)’에 참여한다고 13일 밝혔다.
비보존은 학회에서 ‘VVZ-2471’의 펜타닐 중독 치료 효능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해당 연구는 중독 치료 분야에서 연구의 시급성과 중요성을 인정받아 최신 주요 구두
셀트리온은 이달 10일부터 12일까지 인천 그랜드하얏트에서 개최되는 ‘월드 ADC 아시아 서밋’에 참가해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후보물질 ‘CT-P73’의 전임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CT-P73은 셀트리온이 피노바이오와 공동 개발한 캄토테신 유래 신규 토포이소머라아제(TOP1) 저해제 페이로드 ‘PBX-7016’을 적용한 물질이다.
“조만간 개발 중인 파킨슨병 치료제(TED-A9)의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 3상의 사전 임상시험계획 승인신청(IND)을 신청할 계획입니다.”
강세일 에스바이오메딕스 대표는 5일 서울 성동구 성수동 본사에서 가진 이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연말이나 내년 상반기에서 미국 3상 신청과 승인이 목표”라며 이같이 밝혔다.
신약개발기업 에스바이오메
◇NICE인프라
영업이익 증가 요인 점검
2025년 영업이익 증가 & 하락 요인 점검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7,000원으로 하향
정홍식 LS증권
◇인탑스
자산가치가 높은 기업
베트남 법인의 수익성이 개선 된다면
여전히 높은 자산가치
정홍식 LS증권
◇SK
이번 대선 공약 실현시 동사 최대 수혜
이번 대선에서 양당 후보 자본시장 정책과 관련하여
아이브이리서치는 2일 에스바이오메딕스에 대해 동사 플랫폼 기반 신약 개발을 기대할 수 있으며, 올해 하반기부터 임상 3상 진입을 준비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에스바이오메딕스는 TED 플랫폼과 FECS 플랫폼을 기반으로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하는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기업이다. TED 플랫폼을 활용해 다양한 신경계 질환을 공략하고, FECS 플랫폼으로 세포의
에이비엘바이오는 6월 10일부터 12일까지 인천 그랜드 하얏트에서 열리는 ‘제4회 월드 항체약물접합체(ADC) 아시아 서밋’에 참석해 차세대 ADC 개발 전략을 소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ADC 후보물질 ABL206의 발굴 및 비임상 개발’을 주제로 이중항체 ADC의 장점과 비임상 개발 전략 등을 발표할 예정이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월드ADC 아시아서밋(4th World ADC Asia Summit)에 참석해 차세대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개발전략을 발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ADC 후보물질 ABL206의 발굴 및 비임상 개발’을 주제로 이중항체 ADC의 차별성,
셀트리온, 지난해 R&D 비용 4300억 원바이오시밀러에 신약까지 파이프라인 확대리가켐바이오·알테오젠·에이비엘바이오는기술수출 자금 바탕으로 공격적 R&D
국내외 정세 불안과 투자 시장 위축으로 많은 바이오기업이 자금난을 겪으며 파이프라인을 축소하고 선택과 집중 전략을 선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기술력과 매출을 바탕으로 연구개발(R&D)에 적극적으로 투
국내 반려동물 의약품 시장이 본격적인 성장 모멘텀을 맞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주요 대선 후보들이 동물 의료 정책 공약을 연이어 발표하면서 규모가 크지 않았던 국내 기업들의 반려동물 의약품 사업이 확장될지 기대된다.
28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국내 동물의약품 시장은 중소기업들이 경쟁하는 작은 규모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동물약품협회의 동물용 의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