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17일(화)
△2025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2025년 경제통계 통합조사 실시
△통계청, 여름방학 실용 통계교육 교사 연수
△국가재무회계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국가회계전문교육 실시
18일(수)
△청년의 삶, 지도로 보고 내일을 설계한다
19일(목)
△기재부 1차관 10:00 국무회의(대통령실)
△기재부 2차관 10:
통일신라 시대 해상 영웅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한 것으로 알려진 5월 31일은 '바다의 날'이다.
해양수산부는 30일 서울특별시 세빛섬에서 제30회 바다의 날 기념식을 개최한다. 바다의 날은 바다가 가지는 경제적, 환경적, 역사·문화적 가치와 그 중요성을 국민에게 널리 알리고 해양수산 분야 종사자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1996년에 지정된 법정기념일
트럼프 행정부의 조선업 재건 정책에 따라2037년까지 최대 448척 선박 발주 전망LNG선·군함 MRO 등 한국 참여 방안 협상해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조선업 재건 정책이 본격화하면서 한국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및 상선 신조, 미 해군 군함 유지·보수·정비(MRO), 차세대 선박 협력 등 사업성이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참여 방안을 마
KT SAT은 선박 관리 전문기업 KLCSM과 '다중궤도' 위성서비스를 활용한 선원·선박 관리 솔루션 디지털 전환(DX)에 나선다고 15일 밝혔다. 양사는 무궁화 위성(정지궤도)과 스타링크(저궤도)를 결합해 제공하는 '다중 궤도(Multi-orbit) 위성 서비스' 기반 DX를 추진한다.
향후 양사는 △선박 디지털 관리체계 효율화 △자율운항 선박 실증
해양의 '다보스포럼'으로 불리는 아워오션 콘퍼런스(Our Ocean Conference, OOC) 10차 회의가 30일 성공리에 폐막했다. 우리나라는 개최국으로서 해양의 건전한 이용과 보전을 촉구하기 위해 선도적인 70여 개의 공약을 담은 ‘지속 가능한 해양을 위한 행동계획(Korea Blue Action Plan)’을 발표하는 등 글로벌 해양 리더로 자
영화 상영 인력 자격요건 완화 등 131건“활력위해 과감한 규제 개선 필요”
기업들의 신산업 진출과 투자 확대를 가로막는 불합리한 규제·애로를 개선하기 위한 경제계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30일 현장의 불합리한 규제·애로 567건을 발굴해 정부에 건의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 5월부터 지난해까지 ‘규제개혁 핫라인’
정부가 자율운항선박의 미래를 책임질 정책위원회를 출범시키고 10년 로드맵 수립에 착수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29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자율운항선박 개발 및 상용화 촉진에 관한 법률(자율운항선박법)' 시행에 따라 구성된 '자율운항선박 정책위원회' 제1차 회의를 열었다.
이번 회의는 제10차 아워오션 콘퍼런스(Our Ocean C
3월 1주 투자를 유치한 주요 스타트업은 씨드로닉스, 포탈301, 더플레이토 등이다.
◇씨드로닉스
인공지능(AI) 선박 자율운항 솔루션 기업 씨드로닉스는 150억 원 규모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했다. 기존 투자자인 원익투자파트너스와 라이트하우스컴바인인베스트를 비롯해 LB인베스트먼트, KB인베스트먼트, 산업은행이 참여했다.
씨드로닉스는 실제 운항 데
기획재정부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은 20일 국내 최대 공업 도시 울산에서 '신성장 4.0 민관협의체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는 조선·해운산업의 초격차 기술인 자율운항 선박의 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서 마련됐다.
자율운항 선박은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운항시스템에 접목해 선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개입을 최소화하는 선
HD현대가 미국에서 진행된 토론회에 참석해 미국의 조선 역량 강화에 대한 구상과 비전을 밝혔다. 미 해군 함정 건조와 유지·보수·정비(MRO) 협력을 강조하는 한편 미국 투자에 대한 가능성도 열어뒀다.
20일 HD현대에 따르면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허드슨연구소에서 ‘선박 정비: 미 해군 조선 및 선박 수리 강화’를 주제로 대담 프로그램
친환경선 운반·추진 기술, 디지털전환 등 투자…전년 대비 40% 증액세계 최초 암모니아 연료 공급 전용 선박 건조 사업도 착수
정부가 K-조선 산업의 초격차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역대 최고인 26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친환경선 운반·추진 기술, 디지털전환은 물론 세계 최초로 암모니아 연료 공급 전용 선박 건조 사업도 착수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신임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장에 전재우 전 해양수산부 기획조정실장이 임명됐다.
전재우 신임 원장은 1968년 대구 출신으로 경북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카디프대에서 해양정책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 행정고시 38회로 공직에 입문해 해수부 항만운영과장, 주미대사관 1등서기관, 평택지방해양항만청장, 수산정책과장, 해운정책과장, 대통령비
2045년 세계 최대 항만을 목표로 부산항 진해신항이 본격 착공하고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2곳을 선정해 연안지역의 활력을 높인다.
해양수산부는 13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주요현안 해법회의(경제2 분야)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해수부는 ‘민생에 온기를, 경제에 활력을 더하
산업부, '2025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보고트럼프 보호무역조치 공약 등 통상 환경 전략 대응반도체·자동차·이차전지 등 주력산업 경쟁력 키우고 유망 신산업 생태계 강화체코 원전 본계약 체결·동해가스전 1차 시추 등 에너지 현안 완수
정부가 올해 '상저하고'의 수출 모양새를 전망하면서도 역대 최대규모인 252조 원의 무역보험을 지원하는 등 수출 상승 모멘텀
내년부터 대학에 예식장 설치가 허용되고 레벨4 자율주행차와 자율운항선박이 첫선을 보인다.
정부는 3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에는 이렇게 달라집니다'를 발간했다.
국토교통 분야를 보면 우선 빌라 등 비(非)아파트를 청약 시 무주택으로 인정한다. 60㎡ 이하로서 공시가격 1억 원(수도권 1억6000만 원) 이하인 주택을 소형·저가주택으로 인정
'자율운항선박 개발 및 상용화 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자율운항선박법) 시행령이 제정돼 자율운항선박 기술 실증 기회의 창이 활짝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자율운항선박법' 시행령안이 24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내년 1월 3일 시행을 앞둔 자율운항선박법은 산업부와 해수부가 1년여간 협업을 통해 세계 최초로 제정한
정부가 2020년부터 145억 원을 투자해 연구개발(R&D)을 완료한 오차범위 5㎝인 해양 고정밀 위치정보(PNT) 서비스가 11일부터 본격 서비스를 시작한다.
해양수산부는 10일 GPS에서 수신하는 위치정보의 오차를 애초 10m에서 5㎝까지 대폭 개선한 해양 고정밀 위치정보 서비스 기술이 MBC 방송망과 SKT, KT, LGU+의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