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바락바이오‧와이바이오로직스‧다안바이오로부터 항체 도입항체, ADC 독성 부작용 최소화 방안…여러 항체 적용 시도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가 올해에만 4건의 신규 항체를 도입하며 항체약물접합체(ADC) 파이프라인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수 항체를 도입해 치열해진 ADC 경쟁 시대에서 살아남겠다는 전략이다.
12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리가켐바이오는
이번 주(6월 2~5일) 코스닥 지수는 전주보다 2.97%(21.88포인트) 오른 756.23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 홀로 4710억 원을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970억 원, 2030억 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알테오젠(540억 원), 실리콘투(330억 원), 레인보우로보틱스(320억 원), 디앤디파마텍(160억 원), 코나아이(160억 원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는 와이바이오로직스와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 개발을 위한 신규 항체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리가켐바이오는 해당 항체의 글로벌 ADC 개발에 대한 독점 권리를 확보했다. 계약에는 선급금, 개발 및 상업화 마일스톤, 로열티 등이 포함된다. 도입한 항체는 다양한 고형암에서 고발현되는 면역항암 타깃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회사의 항체디스커버리 플랫폼을 통해 확보한 pH-감응 항체(pH-dependent antibody) 기반의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연구성과를 포스터로 발표한다고 17일 밝혔다.
회사는 지난해 11월 월드AD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9일 자사의 독자적인 항체발굴 플랫폼을 통해 항체-약물접합체(ADC)에 적용할 PD-L1 항체를 발굴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와이바이오는 시판된 특정 PD-L1 항체와 비교해 내재화율(internalization rate)을 개선한 신규 PD-L1 항체를 발굴했다.
PD-L1은 다양한 암종에서 높은 발현을 보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31일 B7-H3 항체의 중국 특허등록 절차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등록된 B7-H3 항체는 국내 인투셀(IntoCell)과 공동 개발중인 항체-약물접합체(ADC) 'YBL-015'의 핵심 물질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항체 디스커버리 플랫폼과 항체 발굴기술을 기반으로 ADC 신약의 핵심 요소인 항체를 개발하고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12일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 갤럭스(Galux)와 AI 기술을 활용한 항암신약 개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협력에서 두 회사는 AI기술을 활용한 항체 기반 면역항암제 개발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와이바이오는 갤럭스가 AI신약설계 플랫폼을 통해 도출한 특정 후보물질을 자사의 항체 플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13일 고형암치료제 개발 타깃인 B7-H3에 대한 항체의 국내 및 일본 특허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허 등록된 B7-H3 항체는 국내 인투셀(IntoCell)과 공동개발 중인 항체-약물접합체(ADC) 'YBL-015'의 핵심 물질이다. 해당 B7-H3 항체는 미국, 유럽, 중국에서도 특허심사가 진행중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오는 4일부터 7일까지(현지 시간)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되는 '제15회 월드ADC(World ADC 2024)'에 참가해 자사의 항체 디스커버리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한 항체-약물접합체(ADC) 파이프라인 ‘AR153’을 발표한다고 1일 밝혔다.
올해로 15회를 맞은 월드ADC는 전세계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연구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미국 면역항암학회(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SITC 2024)에서 TGFβ 항체 ‘AR148’를 포함하여 종양미세환경과 관련된 파이프라인에 대한 연구성과 발표포스터 2건이 채택됐다고 7일 밝혔다.
SITC는 면역항암 분야에서 가장 큰 규모의 글로벌 학회이다. 전세계 63개국
국산 신약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계기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의 오픈이노베이션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바이오벤처, 대학, 연구기관까지 신약 개발 과정에 참여하면서 제2의 렉라자가 등장할지 주목된다.
23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에서는 주요 제약기업들이 산업계 안팎으로 공동연구를 확장하고
GC녹십자·노벨파마,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 日 임상 1상 진입
GC녹십자는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로부터 노벨파마와 공동 개발 중인 산필리포증후군 A형(MPSIIIA) 치료제 ‘GC1130A’에 대한 1상 임상시험계획서(CTN, Clinical Trial Notification)를 승인받았다고 12일 밝혔다. GC1130A는 중추신경계에 투여
아이엠바이오로직스가 중국 화동제약에 임상 1상 단계의 이중항체 기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IMB-101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IMB-101은 OX40L와 TNF를 동시에 타깃하는 이중항체 신약으로 아이엠바이오로직스의 리드 파이프라인이다. 개발 초기 HK이노엔과 와이바이오로직스간의 협업을 통해 발굴했다.
화동제약은 중국 10대
지씨셀, 대만 루카스 바이오메디칼과 면역 세포치료제 개발 협력
지씨셀은 대만의 루카스 바이오메디칼(Lukas Biomedical)과 면역 세포치료제 개발 및 시장 확장을 위한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자가 면역 세포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및 안전성에 대한 홍보와 함께 이뮨셀엘씨주의 글로벌 시장 진출과 추가 확장도 기대하고 있다.
바이오기업, 신사업 확장과 시너지 위해 투자리가켐·에이프릴바이오·지아이이노베이션 등창업자·기업 전략에 따라 외부 대신 자회사 투자
기업 간 투자는 단순한 투자보다 신사업 확장과 시너지 효과를 위해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바이오업계도 그렇다. 자본구조가 취약하고 자금이 많지 않아 투자가 힘들지만, 자본력이 있는 기업 중심으로 지분 투자를 하거나 자회사에
항체 신약 개발 플랫폼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지아이이노베이션의 관계사 지아이셀과 함께 동종유래(allogeneic) CAR-NK를 이용한 항암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을 위한 업무 제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와이바이오로직스의 항체 발굴 플랫폼 기술과 나노바디 라이브러리를 통해 항체를 발굴하고, 지아이셀의 CAR-N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22일 지아이이노베이션(GI Innovation)의 관계사 지아이셀(GI Cell)과 동종유래(allogeneic) CAR-NK를 이용한 항암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을 위한 업무제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와이바이오로직스의 항체 발굴 플랫폼 기술과 나노바디 라이브러리를 통해 항체를 발굴하
올해 상반기 기술수출 8건…전년 12건 대비 33%↓ 총 계약 규모와 선급금 전년보다 각각 60%, 97% 증가“기술력 인정받았다는 뜻…하반기도 좋은 흐름”
올해 상반기 K-제약‧바이오가 8건의 기술수출 성과를 이뤘다. 건수는 지난해 상반기 12건보다 줄었지만, 총 계약 규모와 반환 의무가 없는 선급금(계약금)이 증가하며 질적 성장을 이뤘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