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 신규채용 2배 이상 늘린다

입력 2014-08-19 10: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200명서 올해 340명… 2016년 500명까지

국민은행이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를 고려해 신규 채용 규모를 대폭 확대한다. 향후 10년 내 본격적으로 이뤄질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심각한 청년실업난을 완화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주목되고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지난해 200명이었던 대졸 신입사원 채용 규모를 올해 280명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상반기 60여명의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와 국가유공자 자녀 채용까지 합치면 총 채용 규모는 340여명에 달한다. 내년에는 신입사원 채용 규모를 400명, 2016년에는 500명까지 늘린 후 매년 이 수준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국민은행은 어윤대 KB금융 전 회장이 도입한 해외 우수인재 채용을 폐지하는 대신, 신입사원의 30%를 지방대학 출신 등 지역 인재로 채워 각 지역의 중소기업과 밀착한 관계형 금융을 도모할 예정이다.

지난 3년간 대졸 신입사원 채용의 절반 가까이를 해외대학 졸업자가 차지해 국내대학 졸업자 채용이 100여명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실질적인 대졸 채용은 4배 이상으로 늘어나는 셈이다.

최근 수년간 신규 채용에 소극적이었던 금융권에서 처음으로 이뤄지는 이 같은 대규모 채용 확대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에 대비한 장기 인력 수급계획에 따라 이뤄진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국민은행은 향후 20년간 인력 수급 전망을 분석한 결과, 지금부터 채용 규모를 확대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심각한 인력 단절 및 고급인력 부족에 시달릴 것으로 결론을 내리고 채용 확대에 나섰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앞으로 4~5년 내 베이비붐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되면 매년 700~800여명의 퇴직자가 생긴다”며 “그때부터 채용 인력을 급격히 확대하면 인력 구조의 불균형 현상이 심각해지기 때문에 지금부터 확대에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스마트 금융 등으로 점포 인력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채용 확대가 바람직하느냐는 것도 분석했지만, 장기적으로 인력 수급에 균형이 생길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 관계자는 “은행원의 재직기간을 30년으로 잡고 매년 500명씩 채용하면 결국 1만5000여명의 인력이 된다”며 “여기에 상당수 중도퇴직자를 고려하면 전체 인력은 1만2000~1만3000명 선에서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20일)부터 병원·약국 갈 때 신분증 필수…"사진으로 찍은 신분증은 안 돼"
  • "죄송합니다" 콘서트 끝나자 음주운전 시인한 김호중…팬들 반응은?
  • 금리 인하 기대감에 쑥쑥 오른 비트코인…이번 주 이더리움 ETF 승인 여부에 촉각 [Bit코인]
  • “높은 취업률 이유 있네”…조선 인재 육성 산실 ‘현대공업고등학교’ 가보니 [유비무환 K-조선]
  • 오늘은 '성년의 날'…올해 해당 나이는?
  • 대기업 대출 폭증한 시중은행…중기 기술신용대출은 ‘뚝↓’
  • [날씨] '일교차 주의' 전국 맑고 더워…서울·수도권 '출근길 비 소식'
  • 다꾸? 이젠 백꾸·신꾸까지…유행 넘어선 '꾸밈의 미학' [솔드아웃]
  • 오늘의 상승종목

  • 05.20 12:2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242,000
    • -0.94%
    • 이더리움
    • 4,275,000
    • -1.54%
    • 비트코인 캐시
    • 669,000
    • -2.34%
    • 리플
    • 710
    • -2.07%
    • 솔라나
    • 238,900
    • -1.44%
    • 에이다
    • 650
    • -2.69%
    • 이오스
    • 1,089
    • -3.88%
    • 트론
    • 169
    • -0.59%
    • 스텔라루멘
    • 147
    • -2.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0,000
    • -3.43%
    • 체인링크
    • 23,170
    • +1.94%
    • 샌드박스
    • 594
    • -4.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