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한·중·일 실리콘밸리 삼국지 -배준호 국제경제부 기자

입력 2014-04-17 11: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 중국, 일본의 빅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실리콘밸리의 혁신 DNA를 받아들이고자 하는 노력이 뜨겁다.

삼성은 지난해 10월 실리콘밸리 연구ㆍ개발(R&D)센터를 착공했다. 2년 전에는 구글에서 콘텐츠 사업을 총괄했던 데이비드 은을 영입해 오픈이노베이션센터 수석부사장을 맡겼다. 삼성이 현지에 사무실을 열고 알토란 같은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던 결과다.

일본에서는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선봉장으로 나섰다. 그는 지난해 미국 3위 이동통신업체 스프린트넥스텔을 인수하자마자 소프트뱅크와 스프린트 모두 연고가 없는 실리콘밸리에 사무실을 열었다. 손 회장은 “세상의 중심이 실리콘밸리인데 왜 여기에 오지 않는가”라고 일갈하기도 했다.

중국계 기업도 실리콘밸리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실리콘밸리의 중국계 기업을 지원하는 화위안과학기술협회(HYSTA) 회원은 6000명이 넘으며 알리바바 바이두 야후 창업자가 지원자 명단에 이름을 올려 놓았다.

이렇게 3국이 실리콘밸리 자양분 흡수에 나섰지만 아직 눈에 띄는 성과는 보이지 않는다. 업계 관계자들은 실리콘밸리의 자유분방한 문화와 아시아의 기업 풍토가 애초부터 합일 불가능하다고 한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최근 기사에서 실리콘밸리의 삼성 현지 간부가 스티브 잡스 전기를 읽은 후에 입버릇처럼 “잡스는 이보다 더 어려웠다”며 부하들에게 단기간에 이루기 힘든 목표 달성을 강요했다는 일화를 소개하기도 했다.

사실 일본도 과거 소니 등 전자제품 메이커를 중심으로 실리콘밸리에 진출했지만 이곳의 활력을 성장 원동력으로 삼는 데는 실패했다. 그만큼 문화가 다른 실리콘밸리의 혁신을 도입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

그러나 이런 ‘미션 임파서블(불가능한 임무)’에 성공한 기업은 글로벌 IT업계의 판도는 물론 세계의 역사까지 바꿀 것이다. 생각해 보라. 생산에서 최강인 레노버와 화웨이 등 중국 업체가 구글과 애플의 혁신까지 받아들이는 상황을. 우리 입장에서는 얼마나 오싹할 것인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충전 불편한 전기차…그래도 10명 중 7명 "재구매한다" [데이터클립]
  • [종합] 나스닥, 엔비디아 질주에 사상 첫 1만7000선 돌파…다우 0.55%↓
  • "'최강야구'도 이걸로 봐요"…숏폼의 인기, 영원할까? [이슈크래커]
  • 나스닥 고공행진에도 웃지 못한 비트코인…밈코인은 게임스탑 질주에 '나 홀로 상승' [Bit코인]
  • '대남전단 식별' 재난문자 발송…한밤중 대피 문의 속출
  • ‘사람약’ 히트 브랜드 반려동물약으로…‘댕루사·댕사돌’ 눈길
  • '기후동행카드' 150만장 팔렸는데..."가격 산정 근거 마련하라"
  • 신식 선수핑 기지?…공개된 푸바오 방사장 '충격'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11:1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799,000
    • -0.4%
    • 이더리움
    • 5,314,000
    • -0.15%
    • 비트코인 캐시
    • 649,500
    • -1.89%
    • 리플
    • 728
    • -0.41%
    • 솔라나
    • 232,700
    • +0.39%
    • 에이다
    • 634
    • -0.78%
    • 이오스
    • 1,118
    • -1.84%
    • 트론
    • 153
    • -1.29%
    • 스텔라루멘
    • 150
    • -0.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400
    • -0.4%
    • 체인링크
    • 25,390
    • +0.08%
    • 샌드박스
    • 617
    • -1.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