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송전탑 갈등’ 협상 실패… 대책위 "보상보다 지중화 우선"

입력 2013-04-30 09: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전 13개 보상안에 반대 입장 표명

밀양송전탑 사태가 좀처럼 해결될 양상을 보이지 않고 있다. 한국전력공사가 확대된 보상책을 제시했지만 밀양 주민들은 보상이 아닌, ‘지중화(地中化)’를 요구하며 맞서고 있다.

30일 한전에 따르면 밀양 765kV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는 지난 29일 한전의 ‘갈등 해소를 위한 지원안’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대책위는 이날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개 면 총 1480가구 중 1813명의 주민이 한전의 지원안에 반대 서명을 했다고 밝혔다. 한전이 제시한 지역특수 보상 사업비 125억원+40억원에 대해서도 "한전이 선심 쓰듯이 보상금을 던져주고 주민들을 분열시켜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한전은 최근 △지역지원 사업비 매년 24억원 △지역특수 보상 사업비 125억+40억원 △태양광 밸리사업 부지 임대료 연간 1억9000만원 △선로 인근 펜션 임차와 한국전력 직원 체련장 활용 △선로 주변 주택 매입 이주비 제공 등 13가지 보상안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대책위는 지역지원 사업비 24억원에 대해서 "사실상 현실화 가능성이 없다"고 일축했고 선로 주변 주택 매입비와 이사비 지원 부분도 "송전탑 인근 주민 대부분이 이주를 원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간과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대책위는 이날 송전탑 건설 대신 기존 송전선로의 용량을 높여 신고리 원전 3·4호기에서 생산할 전기를 보내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신양산~동부산 등 현재 건설 중인 송전노선을 신고리 원전에 연결해 전기를 보내는 방안도 언급했다.

지중화에 대한 요구도 빠지지 않았다. 대책위는 울산~함양고속도로를 건설 시 땅속에 송전선로를 깔아 밀양 구간을 지중화하는 대안을 제시했다.

이계삼 대책위 사무국장은 "한전이 제시한 지원안에 소요되는 엄청난 재원을 차라리 지중화 연구 비용으로 전환하는 것이 옳다"며 "지중화 대안을 다룰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열애설·사생활 루머로 고통…실체 없는 '해외발 루머' 주의보 [이슈크래커]
  • 사내 메신저 열람…직장인들 생각은 [데이터클립]
  • 한강뷰 가치는 ‘평균+23%포인트’? 한강 조망 단지 14년 상승률 살펴보니 [한강뷰 프리미엄, 실체는?①]
  • 단독 이복현ㆍ17개 은행장 19일 회동…부동산 PFㆍ내부통제 등 현안 논의
  • 방탄소년단 진 전역 신고, 아미 품으로…뷔·제이홉·RM의 색소폰 축하 '눈길'
  • "취준생에게 월 50만 원 생활비 지원해드려요"…'서울시 청년수당'[십분청년백서]
  • 전북 부안군 규모 4.8 지진 발생…긴급 재난 문자 발송
  • 야유하는 중국팬 향한 캡틴의 '3대0 제스처'…'손흥민 도발' 웨이보서도 화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419,000
    • +1.66%
    • 이더리움
    • 5,000,000
    • +1.65%
    • 비트코인 캐시
    • 643,500
    • +2.06%
    • 리플
    • 687
    • +1.78%
    • 솔라나
    • 219,600
    • +5.07%
    • 에이다
    • 617
    • +3.52%
    • 이오스
    • 986
    • +2.6%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41
    • +3.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74,800
    • +4.18%
    • 체인링크
    • 22,460
    • +6.24%
    • 샌드박스
    • 579
    • +3.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