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양회 개막] 시진핑·리커창 시대 열렸다

입력 2013-03-04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일 정협·5일 전인대 개막… 5세대 지도부 10년 집권 체제 돌입

▲중국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개막하면서 시진핑 등 5세대 지도부가 공식 출범한다.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3일(현지시간) 정협 개막식이 열렸다. 베이징/신화연합뉴스

중국에서 시진핑·리커창의 쌍두마차 시대가 공식 출범하게 됐다.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가 3일(현지시간) 개막하면서 중국 최대 정치이벤트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정협)가 시작됐다.

정협은 12일까지 열흘 동안 진행되며 폐막 하루 전인 11일 정협 위원 2000여 명의 투표로 정협 주석이 선출된다.

외교 소식통들은 이미 위정성 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이 정협 주석으로 내정된 것으로 보고 있다.

뤼신화 정협 대변인은 개막 전날 열린 기자회견에서 “올해 정협에서는 홍콩 보통선거를 비롯해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 영유권 분쟁과 스모그 등 주요 문제가 의제로 다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정협 개막 이틀 뒤인 5일 막을 연다. 전인대 개막 하루전에 주석단 회의에서 국가 주석 등 주요 지도자 선출일과 전체 회의 폐막일 등 주요 일정이 결정돼 공표될 예정이다.

이번 전인대에서는 국가 주석과 총리, 전인대 상무위원장과 각부 장관 등 정부 부처와 군부, 인민은행 등 주요 기관의 인사가 확정된다.

이미 지난달 28일 끝난 당 제18기 중앙위원회 2차 전체회의(18기 2중전회)에서 주요 인사를 마무리했으며 전인대는 이를 승인하는 과정이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시진핑이 후진타오의 뒤를 이어 국가 주석, 리커창이 원자바오 후임으로 총리직에 각각 오를 것이 확실시된다.

다른 상무위원도 이번 전인대에서 정부 직책이 확정되면서 시진핑 등 5세대 지도부의 10년 집권 체제가 공식 출범하게 된다.

한편 원자바오 총리는 전인대 개막일인 5일 자신의 마지막 정부 업무보고에서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 등 거시경제 정책방향을 발표하게 된다.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경제성장의 속도뿐 아니라 ‘질’을 중시하면서 올해 성장률 전망도 지난해와 같은 7.5%로 잡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이번 양회에서는 새로운 정부 구성안이 심의를 거쳐 확정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비리의 온상이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던 철도부가 교통운수부에 통합되고 남중국해·동중국해 등 해상영토에 대한 주권을 강화하기 위해 국가해양국이 부로 승격될 것으로 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1:2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144,000
    • -0.72%
    • 이더리움
    • 5,240,000
    • -1.58%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46%
    • 리플
    • 729
    • +0.28%
    • 솔라나
    • 235,400
    • +0.99%
    • 에이다
    • 630
    • -0.63%
    • 이오스
    • 1,130
    • +0.89%
    • 트론
    • 156
    • +1.3%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400
    • -0.35%
    • 체인링크
    • 26,560
    • +4.77%
    • 샌드박스
    • 620
    • +0.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