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 시장점유율 10% 코앞

입력 2012-08-23 09: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공격적 영업, 젊은층 선호, 국산차 가격 상승 등 원인

1987년 수입차 시장이 개방됐을 때 우리나라 내수 시장점유율은 0.004%(승용차 등록대수 기준)에 불과했다. 대수로는 고작 10대가 팔렸다. 눈 씻고 찾아봐도 도로에서 수입차를 보기 힘들었다.

그로부터 25년 뒤. 수입차의 시장점유율이 10%대를 목전에 두고 있다. 25년 만에 2500배 성장한 셈이다.

한국수입차협회의 통계 자료를 보면 올해 1~7월까지 수입차는 7만3007대가 팔려 9.8%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 수입차의 내수 시장점유율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주춤한 것을 제외하면 줄곧 성장세였다.

특히 올해는 성장세가 가파르다. 판매 대수로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1만2484대가 더 팔렸다. 증가율로는 20.6%에 달한다.

같은 기간 국내 완성차 5사(현대차·기아차·한국GM·르노삼성·쌍용차)의 내수 판매 실적은 81만2672대로 전년 동기 대비 5.7% 감소했다.

경기 불황에 국산차가 울상을 짖고 있는 반면 수입차는 거침없는 성장을 보이고 있다.

수입차의 성장은 업계의 적극적인 영업과 다양해진 모델, 젊은층의 높아진 구매 선호도 그리고 국산차의 가격 상승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수입차업계 관계자는 “3000~4000만원 대인 폭스바겐의 골프 등을 30대 직장인들이 선호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형세단급으로 가면 현대차 에쿠스가 1억원에 육박하면서 수입차와의 가격차이가 좁혀지자 배기량을 좀 낮춰도 벤츠나 BMW를 구입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수입차들의 한국시장 공략도 적극적이다. 한국토요타자동차는 다음달까지 렉서스를 가지고 있는 고객이 재구매할 경우 200만원을 할인하는 행사를 진행한다. 이탈리아 브랜드 피아트는 내년 한국 시장에 재진출한다. 피아트는 소형차인 친퀘첸토부터 국내에 선보이기로 했다. 피아트-크라이슬러 그룹은 한국시장에서 소형차는 피아트가, 대형차는 크라이슬러가 맡으면서 높은 성장을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중국이 중국했다" 손흥민·이강인 향한 좁은 속내…합성사진 논란
  • "올여름 폭염·폭우 지속될 것…미리 대비해야"
  • 지하철서 잠든 이준석 사진 확산…출퇴근 목격담도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뇌전증 전문 교수들, 집단휴진 불참…“환자 위기 빠트리는 행동 삼가야”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14:2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58,000
    • -0.59%
    • 이더리움
    • 4,956,000
    • +0.51%
    • 비트코인 캐시
    • 614,500
    • -2.46%
    • 리플
    • 679
    • -1.02%
    • 솔라나
    • 207,600
    • -3.08%
    • 에이다
    • 596
    • -1.81%
    • 이오스
    • 960
    • -1.23%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700
    • -1.85%
    • 체인링크
    • 21,780
    • -0.5%
    • 샌드박스
    • 560
    • -0.71%
* 24시간 변동률 기준